총 2개
-
진단세포2024.10.201. 서론 1.1. 환자 소개 ***님은 만성 B형 간염의 과거력이 있는 분으로, 타 병원에서 시행한 복부 CT 검사 상 12cm의 과혈관성 종괴 소견이 있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본원에서 시행한 검사상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또는 위장관 간질종양(Gastric GIST)이 의심되어 경내시경 초음파 유도 하 세침흡인 생검(EUS-FNA)을 위해 입원하였다. ***님의 나이는 53세이며, 신장 155cm, 체중 55kg의 남성 환자이다. 과거력으로 만성 B형 간염이 있으며, 가족력은 없는 것으로 확...2024.10.20
-
B형간염 성인 간호 케이스 분석2024.10.121. 서론 전 세계적으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한번이라도 감염된 적이 있는 인구는 현재까지 20억이 넘는다. 발생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간경변이나 간세포암과 같은 만성 간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성인에서의 급-만성 간 질환의 만연 지역으로서, 가장 흔한 원인은 무엇보다도 간염바이러스의 감염이다. 이 중에서도 B형 간염바이러스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간염바이러스로 자연적으로 우리는 B형 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도 많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간세포암 환자 중 약 ...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