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성인 만성콩팥병2024.10.01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국민관심질병통계에 의하면 만성 콩팥병(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는 2018년 226,877명에서 2021년 277,252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10년 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또한,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만성콩팥병 환자도 꾸준히 늘고 있는데 70세 이상 인구에서 26.5%가 만성콩팥병에 노출돼 있다. 이러한 가운데 실습에서 우울감을 갖고 기력이 없으셨던 환자분이 유독 마음에 쓰였는데, 최근 3개월간 식욕 감퇴로 10kg이 감량된 상태였으며 환자분 인지 못...2024.10.01
-
성인 작업치료 case2025.02.191. 서론 1.1. 대학병원 실습 경험 소화기내과에서 실습 중 병동 환자들이 자주 사라지는 것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환자들은 말기 신장질환으로 투석을 받기 위해 투석실을 오가며 입원생활을 하고 있었고, 이에 대한 궁금증으로 이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말기 신장질환(ESRD)에 대한 관심이 생기게 된 것이다. ESRD는 콩팥질환의 마지막 단계로, 콩팥 기능이 10~15% 수준으로 감소된 경우를 의미한다. 대부분 만성 콩팥병(CKD) 4~5기에서 진행되지만, 급성 콩팥기능 상실(ARF)로부터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ESRD ...2025.02.19
-
만성콩팥병2025.03.131. 서론 만성 콩팥병은 신장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이다. 이는 신장의 손상과 기능 감소로 인해 발생하며, 그 정도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된다. 만성 콩팥병은 당뇨병과 고혈압이 주된 원인이며, 원인 질환의 적절한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그 외에도 사구체 질환, 요로계 질환, 자가면역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 콩팥병의 임상증상은 비특이적이어서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른 합병증으로 심혈관계 질환, 뼈 질환, 빈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만성 콩팥병의...2025.03.13
-
AVF수술2025.03.231. 서론 1.1. Chronic Kidney Disease의 개요 만성 콩팥병이란 GFR(사구체여과율)에 의해 신기능의 저하가 나타나거나 신장 손상 또는 신장 기능 감소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 감소 정도에 따라 1단계에서 5단계로 분류되며, 1단계는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여과율이 90 이상으로 정상이지만 신 손상의 증거인 소변 검사의 이상 혹은 신장 요로계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동반된 상태이다. 2단계는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여과율이 60-89로 약간 감소된 상태이며, 신장 기...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