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벼의 기상생태형2024.10.011. 서론 통일벼의 육성이 1970년에 이루어진 사건은 한국이 보릿고개 위기를 극복하고 주요 작물을 자급자족할 수 있게 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어서 통일벼의 단점을 극복하여 쌀의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고, 일본의 쌀 재배기술이 극적으로 발전하여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다. 통일벼의 사례와 같이 농촌진흥청 식량종자 개발부터 보급, 식량종자 보급까지 모든 면에서 종자에 관하여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식량안보라는 국가적 목표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볼 수 있지만 국내 식품 종자업체들이 설 ...2024.10.01
-
분얼의 규칙성2024.10.081. 벼 새끼치기 1.1. 줄기생장과 새끼치기 벼의 줄기는 마디와 마디사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마디 사이에는 잎ㆍ새끼친줄기ㆍ뿌리의 발생단위가 된다. 벼줄기의 마디는 보통 14~18개로 이삭으로부터 아래쪽 4~5개 마디 사이가 길며 밑에서부터 10마디사이까지는 거의 자라지 않는 불신장마디 부위가 있다. 하지만 생식생장기가 시작되면 불신장마디 부위 위쪽의 1~5마디 사이가 빠르게 신장하는 신장마디 부위가 된다. 이 부위의 신장이 벼의 키(간장)를 결정하게 된다. 벼는 줄기와 함께 잎을 착생하는데, 줄기가 부족하면 엽수가 감소하여...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