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prom 37주 제왕절개2024.09.121. 제왕절개술(Cesarean section, C/S) 1.1. 정의 제왕절개술(Cesarean section, C/S)은 복부절개를 통해 태아를 만출시키는 방법이다"."복부절개를 통해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수술 방법을 말한다"."태아를 복부를 통해 분만하는 수술로, 자연분만이 어려울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1.2. 적응증 제왕절개분만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이 있는 경우 이전 수술 반흔으로 인해 자궁파열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제왕절개술이 필요하다"".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의 경우에도 산모...2024.09.12
-
파막 후 시간경과와 관련된 감염위험성2024.11.211. 만삭 전 조기양막파막(PPROM) 1.1. 정의 만삭 전 조기양막파막(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PROM)이란 임신 37주 미만에 진통이 생기기 전에 양막의 파열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분만 시기인 37주 이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경우로, 전체 조기파막(PROM)의 25%와 조산의 25%에서 발생한다. 진통은 파막 후 수일~수주 이후에 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만삭 전 조기양막파막은 만삭 조기파막(PROM)보다 융모양막염과 자궁내막염의 발생 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차이가 ...2024.11.21
-
조기파막과 관련된 감염위험성2024.09.061. 자궁경관 무력증 1.1. 정의 자궁경관 무력증이란 자궁 경관의 구조 및 기능의 결함으로 인한 자궁경부의 수동적 무통성 개대이다. 이로 인해 태아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열린 자궁경관으로 작은 자극에도 양막이 파열되거나 태아가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자연유산과 습관성 유산, 조산의 주요 원인이 된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자궁경관 무력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정확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으나 자궁 경부의 선천적 이상, 자궁경부를 약화시키는 모든 상황, 생리적 원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궁 경부의 선천...2024.09.06
-
자궁외임신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과정2024.09.041. 자궁외 임신 1.1. 자궁외 임신의 정의 자궁외 임신이란 수정란이 정상적인 위치인 자궁몸통의 내강에 착상되지 않고 다른 곳, 즉 난소에서 나온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하는 난관(가장 많이 발생), 난자를 생산하는 난소, 자궁을 지지하는 여러 인대, 복강,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경부 등에 착상되는 임신을 말한다. 자궁외 임신은 수정란이 자궁강 밖의 다른 장소에 착상하여 발생하는 임신으로, 대부분 난관에서 발생한다. 수정란이 자궁강에 제대로 착상하지 못하고 다른 부위에 착상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자궁외 임신은 생명을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