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장수 생 막걸리2024.10.121. 국순당 소개 1.1. 개요 국순당은 1983년 2월 5일에 설립된 주식회사로, 1992년 12월 31일에 상호를 국순당으로 변경하였다. 국순당의 시작은 1970년 한국 미생물 공업 연구소에서 시작되었다. 국순당은 백세주를 출시하면서 회사 상호를 변경하였고, 현재 전통주 시장의 2/3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백세주는 단일 품목으로 1998년에 1000만병 판매를 돌파하였고, 2001년에는 한국 전통 식품 베스트5 선발 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여 국가대표 전통술로 공인받았다. 국순당은 소비자의 입맛에 맞춘 다양한 술을 내놓는 ...2024.10.12
-
유기화학실험 소주로부터 에탄올2024.09.061. 소주로부터 에탄올 분리 - 증류 1.1. 증류의 원리 1.1.1. 단순 증류 단순 증류란, 액체와 고체의 혼합물을 분리하려고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얻고자하는 대상물에 따라, 액체의 경우 오른쪽과 같은 증류실험장치를 사용하여 증류, 응결과정을 통해 얻어내며, 액체에 녹은 고체를 얻고자 할 때는 리비히냉각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플라스크 내의 혼합물에서 액체를 전부 증발시켜 얻는다. 단, 리비히 냉각기를 사용 할 때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물이 이동하도록 실험 장치를 설계한...2024.09.06
-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2024.11.021. 막걸리의 DPPH 라디칼 소거능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라디칼에 대하여 이해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비공유전자를 갖고 독립하여 존재할 수 있는 화학종을 말한다. 이런 불안정한 라디칼은 반응성이 풍부하여 다른 분자를 공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쇄반응이 계속된다. 이에 반해 활성산소란 호흡과정에서 생성되어 세포 구조를 손상시킬 수 있는 불안정한 산소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DPPH 라...2024.11.02
-
막걸리2024.09.271. 막걸리의 이해 1.1. 막걸리의 정의 및 특징 막걸리는 곡물로 만든 곡주의 일종으로,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의 곡물을 찌고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전통적인 술이다. 막걸리는 술을 거르기 전의 상태로 마시는데, 청주와 달리 술을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서 마시기 때문에 "막걸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막걸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술인 탁주의 일종이며, 알코올 도수가 6-13%로 낮은 편이다. 막걸리는 쌀이나 밀가루에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키는데, 술이 완성되면 용수를 박아 청주를 떠내지 않기 때문에 흐리고 탁...2024.09.27
-
막걸리 시장2024.09.271. 막걸리 개요 1.1. 주류 구분 주류는 제조 방법에 따라 발효주, 증류주, 혼성주의 세 종류로 나뉜다. 발효주는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해서 원료를 발효시킨 술이다. 원료는 포도, 보리, 옥수수, 밀, 쌀 등이다. 원료 고유의 향과 부드러운 맛이 있는 반면 알코올 도수가 낮아 변질이 쉽다. 알코올을 만들어내는 미생물인 효모는 자신이 살아야 하기 때문에 12도 이상의 알코올 성분을 만들어내지 않는다. 발효주에는 와인(포도), 맥주(2조 보리), 막걸리(쌀, 밀), 청주(쌀, 밀) 등이 있다. 발효주를 양조주라고도 한다. 증류...2024.09.27
-
식품미생물 막걸리2024.10.051. 막걸리의 정의와 종류 1.1.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쌀, 밀가루, 옥수수 등과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술이다. 막걸리는 술이 맑지 않고 탁해 '탁주'라고도 불리는데, 탁주와 막걸리는 엄밀히 구분할 수 있다. 막걸리의 '막'은 '마구'의 줄임말로 '특정한 규칙 없이 대충'이라는 의미와 '지금 바로'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는 술을 거르는 모습을 담은 언어로, 술의 맑기를 가진 탁주나 청주와 구분된다. 막걸리는 크게 제조법상의 분류와 주세법상의 분류 두 가지로 나뉜다. 제조법상 분류에 따르면 막걸리는 발효주이...2024.10.05
-
막걸리가 만들어질때 효모의 역할2024.10.071. 사과당근막걸리 만들기 1.1. 실험이론 1.1.1. 누룩의 의의 누룩은 생 곡류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효고와 여기에 Rhizopus, Mucor, Abisidia속 등의 곰팡이와 효모 그리고 기타 균류가 번식하여 각종 효소를 생성하여 분비하고 있는 발효제이며 많은 효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술밑(주모)의 모체 역할을 겸한 발효제의 일종이다. 누룩을 사용하여 만든 약·탁주(막걸리)의 풍미는 독특한 향미가 있고, 술맛이 유순한 점 등의 여러가지 특성을 전통주이다. 1.1.2. 누룩의 품질 누룩의 품질은 누룩의 단면이 속까지 홍백색...2024.10.07
-
막걸리시장2024.09.191. 막걸리 산업 개요 1.1. 주류 구분 주류는 제조방법에 따라 세 종류로 나뉜다. 발효주는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해서 원료를 발효시키는 술로, 포도, 보리, 옥수수, 밀, 쌀 등을 주원료로 한다. 원료 고유의 향과 부드러운 맛이 있지만 알코올 도수가 낮아 변질이 쉽다. 증류주는 양조주를 서서히 가열하여 증발한 기체를 모아 냉각시켜 얻은 고농도의 술로, 알코올 도수가 높고 특유의 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과실주는 증류주에 과일, 향, 약초 등을 첨가한 술이다." 1.2. 막걸리 역사 막걸리는 삼한시대부터 유래되었고 삼국사기에 언급...2024.09.19
-
막걸리2024.09.261. 막걸리의 역사와 특징 1.1.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막걸리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막걸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술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술을 뜻하는 "미온(美醞)", "지주(旨酒)", "요례(醴)" 등의 기록이 보이는데, 이를 통해 삼국시대부터 이미 곡물로 술을 빚는 기술이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삼국지위서동이전》에는 "고구려가 장양(藏釀)을 잘한다"는 기록이 있어 당시 고구려인들의 술 빚는 뛰어난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고사기》에는 백제의 인번(仁番) 수수보리가 일본에 ...2024.09.26
-
막걸리의 국내시장 진출 사례2024.09.261. 국순당의 기업 경영전략 1.1. 국순당의 기업철학 국순당의 기업철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 전통주 분류를 체계화하고 전통제조방법의 기술적 특성을 규명하며, 전통주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균일한 품질과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한 노하우를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다양한 전통주 중에서 새로운 한국주종 개발의 단초를 찾아내고 이를 현대화하는 과감성을 잃지 않는다. 셋째,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디자인과 주미요소를 개발하여 대중주로서의 확고한 위치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다. 넷째...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