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임상약리학2024.09.291. 항균제 1.1. 베타락탐계 항균제 1.1.1. 페니실린계 페니실린계 항균제는 베타락탐계 항균제 중 가장 오래된 계열이다. 페니실린계 항균제는 그람양성균과 일부 그람음성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작용기전은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페니실린계 항균제로는 ampicillin, piperacillin, amoxicillin 등이 있다. ampicillin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효과적이며 임질 치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는 효과가 없다. pipe...2024.09.29
-
세균의 내성 획득과정2024.10.121. 항생제 내성 1.1. 항생제 내성의 정의와 발생 과정 항생제 내성이란 미생물이 항생제에 노출되었음에도 특정 항생제에 저항력을 가지고 생존하는 능력을 말한다. 항생제 내성은 미생물이 항생제에 선택압력을 받으면서 발생하게 된다. 감염이 되었을 경우 많은 세균들 중 일부만이 내성균인데, 항생제에 민감한 세균은 죽지만 내성을 가진 일부 내성균은 제거되지 않고 살아남는다. 즉, 내성균은 살아남아서 선택적 압력을 통한 증식을 하며 일부 내성균은 다른 균에 내성 유전자를 전달하기도 한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든 사람이 항생제를 복용...2024.10.12
-
화학 탐구 보고서2024.11.231. 항생제와 아세틸살리실산의 합성 및 효능 1.1. 항생제의 종류와 작용 메커니즘 1.1.1.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 과정을 차단하여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 세균은 인체 세포에는 없는 세포벽이라는 구조로 둘러싸여 있어 인체 내의 삼투압보다 높은 세균 내 압력을 유지하며 살아간다. 세포벽은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이므로 세포벽 합성 과정의 각 단계를 억제하면 세균이 파괴된다. 대표적인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로는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이 있다. 이들은 베타-락탐 고리라는 3개의 탄...2024.11.23
-
작용기2024.08.311. 항생제 약물 작용기전 1.1. 페니실린계 항생제 페니실린계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생제 계열이다. 페니실린이 개발된 이후 널리 사용되었지만, 산성 pH에서 불안정하고 그람 음성균이 생성해내는 효소인 베타락타마제에 의해 파괴되어 그람 음성균에 대한 효과가 좋지 않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를 변형하여 개발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아목실린과 나프실린이 있다. 또한 베타락타마제에 대해 불안정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베타락타마제 억제제를 첨가한 타조페란, 유나신과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