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정맥수액 주입에 관한 개념도 작성해줘2024.09.191. 마취간호 1.1. 전신마취 1.1.1. 정의 및 개념 전신마취란 마취제를 투여하여 중추신경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의식이나 전신적인 감각, 운동 및 반사를 소실시키는 방법이다.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환자가 수술을 받는 동안 통증, 의식,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호흡, 혈압 및 전신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일련의 진료 과정이 전신마취이다. 마취제를 투여하면 호흡이 억제되거나 소실되고, 심혈관계 기능도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마취 깊이가 유지되도록 적절한 양의 마취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호흡기 및 심혈관계 이상...2024.09.19
-
distal gastrectomy 기구2024.10.2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암으로 우리나라 암 발병률이 1위인 암에 해당한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 위암 유병자 수는 총 304,265명으로 이중 약 25%가 남성, 약 18%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위암의 발병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위암의 조기 진단이 늘어나고 수술과 항암제 등의 발달로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위암은 증상과 진찰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운 병으로 방사선 검사나 위 내시경 검사로 진단 할수 있고 조직검사로 최종 진단이 된...2024.10.22
-
마취간호2024.10.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마취는 의식과 감각 및 반사 작용이 소실된 상태를 의미한다. "마취"란 말은 18세기까지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에는 전신마취와 국소 혹은 부위마취가 주된 마취 방법이며, 마취 과정에서 환자의 생명활동 유지와 통증 관리를 위한 다양한 보조제가 사용된다. 마취는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안전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진료 행위이며, 이를 위해 숙련된 마취 관리...2024.10.22
-
수술실 담낭절제술 간호진단 급성통증2024.09.241. 담낭염과 담낭절제술 1.1. 담낭염의 정의, 병태 생리, 증상 및 진단 담낭염은 쓸개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두 가지 문제 중 하나이다. 담낭염은 보통 담석증과 함께 나타나지만 결석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결석성 담낭염은 담석이 쓸개관(담관)을 막아 쓸개즙(담즙)이 정체되어 발생한다. 쓸개즙이 정체되면 재흡수되어 쓸개벽(담낭벽)을 자극하게 된다. 즉, 쓸개즙이 쓸개에 독성효과를 나타내어 쓸개의 부적절한 순환, 부종 및 팽만과 더불어 쓸개벽의 허혈상태를 초래한다. 그 결과 조직은 괴사되고 탈락하여 쓸개벽에 천공이 발생할 수...2024.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