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6개
-
복강경 수술에서 소독 간호사의 역할2024.09.241. 개요 1.1. 수술 전 간호사정 수술 전 간호사정은 환자의 건강상태와 수술을 위한 준비 정도를 사정하는 것이다. 수술 전 간호사정은 환자의 성명, 성별, 연령, 입원일, 진단명, 수술명, 수술 부위, 마취종류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상태와 수술을 위한 준비 정도를 사정하고, 수술 전 간호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환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여 alert, drowsy, stupor, semicoma, coma 등의 상태를 확인한다. 수술 전 준비사항으로는 수술서약서 작성, 수술 전 ...2024.09.24
-
마취 마약2024.09.221. 마취 약물 정보 1.1. 흡입마취제 1.1.1. Sevoflurane Sevoflurane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마취 유도와 유지에 효과적이다. 흡입마취제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다. Sevoflurane은 낮은 혈액/가스 용해도로 인해 빠른 마취 유도와 회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심혈관계에 대한 억제 작용이 약해 심장질환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Sevoflurane은 저혈압과 호흡기계 억제를 동반한 심폐 기능 억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오심과 구토, 그리고 T...2024.09.22
-
마취과 약물2024.09.101.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 1.1. 흡입마취제 흡입마취제는 폐를 통하여 혈액으로 잘 용해되어 신속하게 작용하며 마취 유도 및 유지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주요 흡입마취제로는 세보플루란, 데스플루란, 아산화질소 등이 있다. 세보플루란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낮은 용해도로 인해 빠른 마취 유도 및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혈압과 호흡기계 억제를 동반한 심폐 기능 억제, 오심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마취의 회복이 빠르므로 통증 사정과 관리가 필요하다. 데스플루란은 또 다른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외상...2024.09.10
-
수술실 정서간호 보고서2024.09.291. 서론 본 레포트는 교통사고로 인한 복부 통증을 호소하는 35세 여성 환자의 시험적 개복술에 대한 간호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시험적 개복술은 임상 및 영상 진단법으로는 알 수 없는 복강 내 여러 장기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수술실에서 복부를 절개하여 직접 검사 및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과 쾌적한 회복을 위해 수술 전, 중, 후 각 단계에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이 환자의 경우 여호와의 증인교도로서 수혈을 거부하고 있어, 간호사는 환자의 종교적 신념을 존중하면서도 ...2024.09.29
-
수술 마취 종류2024.10.011. 마취의 종류 1.1. 전신마취 1.1.1. 정맥 주사 마취 정맥 주사 마취란 정맥 내에 주사로 마취제를 주입하여 환자를 무의식 상태로 유도하는 전신마취 방법이다. 정맥 내 주사로 약물을 주입하면 신속하게 전신순환을 통해 뇌까지 도달하여 의식을 소실시킨다. 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취제로는 바르비탈계 약물인 티오펜탈(thiopental), 비바르비탈계 약물인 프로포폴(propofol), 해리성 마취제인 케타민(ketamine) 등이 있다. 정맥 주사 마취의 장점은 마취 유도와 각성이 빠르고, 개인차에 따른 약물분포 및 ...2024.10.01
-
약리학 용어2024.10.101. 약리학의 개념 1.1. 약물의 구비조건 약물의 구비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성·강도·효과가 있어야 한다. 둘째, 치료 효과가 있고 부작용이 적어야 한다. 셋째, 발암 현상이 없어야 한다. 넷째, 선택성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값이 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약물만이 환자에게 처방될 수 있다. 1.2. 약물의 관리 약물의 관리는 간호사의 주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약물의 보관, 약장 관리, 그리고 약물 용기의 종류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첫째, 약물의 보관은 매우 ...2024.10.10
-
국소마취2024.11.051. 마취(Anesthesia) 1.1. 마취의 정의 마취(Anesthesia)란 수술을 시행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통증을 없애는 것으로, 전신 혹은 특정 부위의 의식, 감각, 운동 및 반사행동이 없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진료 행위이다. 즉, 마취는 원래의 뜻 그대로 "감각을 없게 한다"는 뜻으로 통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수술 환자의 전신적인 관리 차원의 의미까지 확장되어 수술을 받는 환자가 수술 동안 통증, 의식, 움직임을 없애고 호흡이나 혈압 및 출혈과 수액을 적정하게 유지하며 환자가 마취에서 완전히 깨어날 때까지의 상태를 안전하게...2024.11.05
-
국소마취제종류2024.11.051. 마취 1.1. 국소마취 1.1.1. 국소마취의 정의 및 특징 국소마취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신체 특정 부위의 신경을 차단하여 그 부위의 감각과 통증을 소실시키는 마취 방법이다. 국소마취는 전신마취에 비해 빠른 회복과 경제성이 있으며, 호흡기 및 순환기 합병증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수술 중 심리적 불안과 공포를 느낄 수 있고, 장시간 수술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국소마취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마취와 수술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정서적 지지가 매우 중요하다. 1.1.2....2024.11.05
-
tur-bt 수술도구2024.10.311. 경요도 방광 종양 절제술 TUR-Bt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1.1. 정의 및 적응증 경요도 방광 종양 절제술 TUR-Bt(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는 방광 벽의 종양 조직을 전기소작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는 방광암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대표적인 수술로, 방광 내 종양이 있는 경우 적응증이 된다. 방광암은 방광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병률이 증가한다. 특히 40세 이상의 환자에서 육안적 혈뇨...2024.10.31
-
분만실 주요 사용 약물2024.10.201. 분만 단계와 변화 1.1. 분만 1기(the first stage): 경관 개대기 1.1.1.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 분만 1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의 시작부터 자궁경관의 완전개대(10cm)까지를 말한다. 분만 1기는 개대 정도에 따라 잠재기(latent phase), 활동기(active phase) 및 이행기(transitional phase)로 나눌 수 있다. 잠재기에는 진진통의 시작과 함께 자궁경관 소실이 주로 진행되며 선진부 하강은 약간 진행된다. 자궁수축은 부드럽거나 보통 정도이며 불규칙적이다. 자궁경관은 0~3...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