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4개
-
모성간호 실습 케이스스터디 주제 제왕절개2024.10.021. 아두골반 불균형과 제왕절개 1.1. 아두골반 불균형 1.1.1. 질병정의 아두골반 불균형은 태아가 지나는 산도인 엄마의 골반이 좁거나 태아가 큰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분만 중 골반과 태아의 방향이 맞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1.1.2. 원인 아두골반 불균형의 원인은 다양하다. 먼저 산모의 골반이 선천적으로 좁은 경우와 영양실조, 종양, 골반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과 같은 질병이 있을 경우 아두골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태아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그에 비해 좁거나 좌...2024.10.02
-
C sec 간호진단2024.10.031. 제왕절개술 개요 1.1. 정의 및 역사 제왕절개술은 임신자궁을 절개하여 인공적으로 태아를 만출하는 수술로, 그 명칭은 독일어 "카이저슈니트(Kaiserschnitt)"의 직역이다. 이 용어의 어원은 라틴어 "sectio caesarea"에서 유래하는데, 거기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가 복벽절개에 의해 태어났다는 데에서 유래한다는 설과, 둘째, "caesarea"는 "벤다는 것", 즉 임신자궁을 절개한다는 뜻에서 온 중복어라는 설이다. 이 수술은 경질분만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2024.10.03
-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배액관의 종류와 사용법2024.09.191. 수술실 기본 구조와 기능 1.1. 구역관리 수술실은 다른 곳보다 각 공간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이는 교차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함이다. 수술실은 크게 제한구역, 준 제한 구역, 허용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에 따라 착용해야 할 복장이 다르다" 제한구역은 수술실, 수술준비실, 마취준비실, 회복실, 수술실 복도 등이며, 이 구역에 들어가는 모든 사람은 수술복장과 마스크, 모자, 깨끗한 신발 등을 착용해야 한다. 준 제한 구역은 소독준비실, 외래환자 준비실, 갱의실 등이고 수술복장, 모자, 깨끗한 신발 ...2024.09.19
-
BSO2024.09.19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난소 종양은 임신횟수, 초경연령, 폐경연령 등의 변화, 호르몬제제의 노출, 서구화된 식생활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춰 난소 종양 수술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젊은 여성에 경우, 되도록 종양만을 절제하고 난소실질을 남겨두는 방법이나 임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쪽 난소만 적출을 하는 방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복강경을 이용해 수술흉터를 최소화하는 수준까지 발전하였다. 따라서 다른 수술과 비교하면, 안전하고 성공률이 높은 수술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아...2024.09.19
-
마취 간호2024.09.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및 역사 마취란 의식과 감각을 차단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진료 행위이다. 마취의 개념은 18세기까지는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로 쓰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마취의 역사는 고대부터 존재했는데, 수천 년 전부터 알코올, 아편, 대마초 등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4세기 BC 고대 그리스의 의사 디오스코리데스는 만드라고라 뿌리를 사용하여 수술 중 통증을 줄이는 방법을 기록했다. 이...2024.09.22
-
정형외과 수술레포트2024.09.281. 수술실 실습 1.1. 진료과 약어 진료과 약어는 의료기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약어로 각 의료진들의 전문 분야를 나타낸다. 주요 진료과 약어는 다음과 같다. OS는 Osteo Surgery의 약어로 정형외과를 의미한다. 정형외과는 골격계와 근육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야이다. GS는 General Surgery의 약어로 일반외과를 의미한다. 일반외과는 갑상선, 유방, 간담췌, 위장관 등 복강 내 장기의 수술을 담당한다. CS는 Chest Surgery의 약어로 흉부외과를 의미한다. 흉부외과는 폐, 심장, 혈관 등 흉...2024.09.28
-
울산대학교 간호대학원2024.09.301. 전문간호사란 1.1. 전문간호사의 정의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란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증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 해당 분야에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로 간호대상자에게 상급 수준의 전문가적 간호를 제공한다." 1.2. 전문간호사의 역할 전문간호사의 역할은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자, 교육자, 연구자, 지도자, 자문가, 협동자의 6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자로서 대상자에게 상급 수준의 전문적 간호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신속히 파악하고 정확한 진단...2024.09.30
-
마취 종류에 따른 수술 후 간호2024.09.291. 수술 후 간호 1.1. 수술 후 간호의 목적 수술 후 간호의 목적은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신 및 국소의 상태를 관찰하고, 필요한 처치를 행하여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수술 후에는 특히 호흡과 순환에 대한 관찰과 처치가 중요하며, 수술 후 폐렴의 예방, 출혈에 대한 대응, 상처감염의 예방, 영양보급, 조기 이상 등 여러 가지 중요한 과제들이 있다. 이러한 과제들에 빈틈없게 대처하는 것이 수술 후 간호의 주된 목적이다." 특히 중증 또는 대수술인 경우에는 24시간 언제나 심전도, 혈압,...2024.09.29
-
제왕절개 case2024.11.031. 서론 1.1. 제왕절개의 개요 제왕절개는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외과적 수술법이다. 과거에는 고위험 임신에서만 주로 시행되었으나, 근래에는 의료기술의 발전과 함께 안전성이 높아짐에 따라 산모의 편의성이나 의사의 선호도 등에 의해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제왕절개의 주된 적응증은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 분만 경험, 전치태반 또는 태반조기박리, 태아 곤란증 등이며, 이 외에도 산모의 질병이나 연령 등의 요인에 따라 필요할 수 있다. 제왕절개 분만은 질식 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2024.11.03
-
초산부 제왕절개2024.10.021. 서론 1.1. 제왕절개술 현황 우리나라 제왕절개 수술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제왕절개 수술 비율이 42%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수준인 10~15%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제왕절개 수술 비율이 높은 이유로는 반복된 제왕절개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 출산의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통적으로 제왕절개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부위마취 방식인 경막외 척추 마취 또는 척추 마취가 증가하고 있다. 부위마취는 전신마취에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