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자음과 모음의 특징을 설명하고,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분류기준에 따라 나누어 기술2024.09.151. 서론 1.1. 음운의 분류: 자음과 모음 음운은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자음은 성대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조음기관의 장애를 조금이라도 받는 소리이며, 모음은 전혀 장애를 받지 않는 소리로 구분된다". 특히 한국어의 경우 한국어만의 독특한 자음과 모음의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자음과 모음의 조음 특징 자음과 모음의 조음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음은 공기의 흐름이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상당한 장애를 받고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조음 시 구강의 조음 기관 중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혀, ...2024.09.15
-
모음 발음 교안2024.11.071. 한국어 발음 교육 1.1.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문제 1.1.1. 자음 체계 한국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에는 단순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경음 5개(ㄲ, ㄸ, ㅃ, ㅆ, ㅉ), 그리고 격음 5개(ㅋ, ㅌ, ㅍ, ㅊ, ㅎ)가 있다.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ㅁ, ㅂ, ㅍ), 치조음(ㄴ, ㄷ, ㄹ, ㅅ, ㅈ, ㅊ, ㅌ), 경구개음(ㅈ, ㅉ, ㅊ), 연구개음(ㄱ, ㅋ), 성문음(ㅇ, ㅎ)으로 분류된다. 또한 자음은 폐쇄음(ㄱ, ㄷ, ㅂ...2024.11.07
-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2024.10.291.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비 및 특성 1.1. 자음 체계 비교 1.1.1.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 체계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 체계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한국어의 자음은 총 19개인 반면, 일본어의 자음은 13개로 5개가 적다. 조음 위치 면에서 일본어에는 경구개음이 없어 한국어보다 하나 부족하다. 이로 인해 일본어권 화자들이 한국어의 경구개음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조음 방법 면에서 일본어의 장애음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있지만, 한국어에는 이러한 유무성 대립이 없고 대신 평음, 경음, 격음의 대립이 있다. 이...2024.10.29
-
조음 종성 치료2024.09.021. 배경 정보 1.1. 일반적 정보 아동은 만 13세 3개월의 남아로, 지적장애로 인한 조음장애를 보이고 있다. 출생 시 체중은 2.94kg으로 제왕절개로 태어났으며, 출산 전·중·후에 특별한 이상은 없었다고 한다. 12개월경에 설 소대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현재 만성비염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동의 신체 및 운동 발달은 또래와 유사하게 이루어졌으나 소근육 움직임이 미흡한 편이다. 구강구조의 경우 상악에 비해 하악이 작은 편이며 2급 부정교합을 보이고 있다. 아동은 침 흘림이 많고 구강기능이 둔한 편으로 알려져 있다...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