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상행결장암 케이스스터디 분석2025.01.151. 서론 결장암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질병 중 하나이다. 최근 고칼로리 고지방 위주의 서구식 식생활이 자리 잡으면서 결장암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발병 위치에 따라 크게 우측결장암과 좌측결장암으로 나뉘는데, 각각의 특성과 위험요인이 다르다. 결장암은 조기 진단 및 적극적인 치료를 받을 경우 높은 치료율을 보이지만,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사례 연구를 통해 상행결장암 환자의 증상, 진단, 치료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고 간호사의 역할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결장암 ...2025.01.15
-
약물부작용과 관련된2025.01.301. 약물부작용 개요 1.1. 분만관련 약물의 종류 마약성 무통각제로는 모르핀 황산염(morphine sulfate), 메페리딘(meperidine), 부토르파놀 타르트레이트(butorphanol tatrate), 날부핀(nalbuphine) 등이 있다. 모르핀 황산염은 아편의 주성분으로 강력한 진통효과를 나타내지만 작용발현이 느리고 호흡억제 부작용이 크다. 메페리딘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부토르파놀 타르트레이트와 날부핀은 마취통각 항진-길항 혼합체로 호흡억제는 적으면서도 진...2025.01.30
-
약리학 정리2024.10.121. 항히스타민제 1.1. 히스타민의 생리작용 히스타민의 생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히스타민은 신경계, 심혈관계, 호흡계, 외분비선 등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신경계에서 히스타민 H1 수용체를 통해 통증과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심혈관계에서는 H1 수용체 자극을 통해 국소적인 발적, 팽진, 삼출 등의 3중 반응을 일으켜 공격적 인자를 제거하는 방어기능을 한다. 호흡계에서는 기도 평활근 수축을 유발하여 천식 발작을 일으키지만, 이는 방어기능의 일환이다. 외분비선에서는 H2 수용체를 통해 위액 분비를 항진시킨다."" 히...2024.10.12
-
급성췌장염 간호진단2024.11.111. 급성 췌장염 1.1. 정의 급성 췌장염은 췌장의 염증으로서 췌장 자체 효소에 의한 췌장세포의 자가소화를 일으키는 급성 염증의 상태이다. 이는 잠재적으로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인 염증과정이다. 그러나 급성 췌장염의 증상은 원인이 제거되면 보통 사라지며, 대부분의 경우 경미하거나 중등도의 증상을 나타내고 지지적인 간호로 호전된다. 다만 10%의 환자에서는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가 될 수 있다. 1.2. 원인 1.2.1. 위험요인 급성 췌장염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알코올...2024.11.11
-
보건의약관계 법규 위반 판례2024.11.261. 보건의약관계법규 위반 사례 1.1. 의료법 위반 사례 1.1.1. 요양병원 당직의료인 미배치 사례 요양병원 당직의료인 미배치 사례는 의료법 위반으로 처벌 대상이 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피고인인 요양병원 운영자는 2014년 6월 24일 18시부터 6월 25일 9시까지 약 130여 명의 입원환자 진료에 필요한 당직의료인을 배치하지 않고 병원을 운영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법원은 의료법 제41조에 따라 각종 병원에는 응급환자와 입원환자의 진료 등에 필요한 당직의료인을 두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요양병원은 의료법에서 정한...2024.11.26
-
종양지표2024.09.081. 암환자의 기본 혈액검사와 종양표지자 1.1. 암환자의 기본 혈액검사 종류와 정상수치 암환자의 기본 혈액검사 종류와 정상수치는 다음과 같다. 헤모글로빈(Hb)은 적혈구 중의 철을 함유하는 단백질로 산소의 운반을 담당하며, 정상범위는 12.0 ~ 16.0이다. 헤마토크리트(Hct)는 전혈액 중에 차지하는 적혈구 용적을 %로 표시한 것으로 정상범위는 37.0% ~ 47.0%이다. 적혈구수(RBC Count)의 정상범위는 4.0 ~ 5.4이다. 백혈구수(WBC Count)의 정상범위는 4.0 ~ 10.0이며, 혈소판수(Platel...2024.09.08
-
암성통증2025.01.101. 암성통증 관리 1.1. 암성통증의 특성 암성통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침해수용성 통증은 장기 손상에 의해 침해수용체가 자극되어 생기는 통증으로, 비마약성 및 마약성 진통제로 대부분 조절이 가능하다. 체성통은 쑤심, 욱신거림, 누르는 듯, 찌르는 듯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내장통은 둔하게, 우리함, 쥐어짜는 듯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신경병증 통증은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손상된 신경의 지배 영역에서 감각 이상이나 이질통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 진통제 치료에 보조진통제 병합 투여 및 중재적 ...2025.01.10
-
다이어트약의오남용2024.08.291. 약물 오용과 남용 1.1. 약물 오용의 의미 약물 오용은 약물을 질병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하지만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의사나 약사의 지시와 다르게 자신의 경험이나 판단에 의하여 약물을 잘못 사용하거나 약물에 대한 잘못된 정보로 인해 적절한 용도로 약물을 잘못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계속해서 섭취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처방된 약을 먹는 등이 약물 오용에 해당한다. 1.2. 약물 남용의 의미 약물 남용은 약물을 질병 치료의 목적이 아니라 개인의 정신이나 신체적 변화를 위해 부적절...2024.08.29
-
간호사 약물2025.03.101. 간호사의 약물관리 1.1. 정신과 약물요법 1.1.1. 항정신병 약물 정형항정신병약물은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뇌신경 전달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조현병을 치료한다. 정형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작용이 강하지만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 작용은 미약하므로 양성증상을 치료하는 효과는 강하지만 음성증상에는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악화시킨다. 정형항정신병약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클로르프로마진, 레보메프로마진, 페르페나진, 할로페리돌, 부롬 등이 있다.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은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 및 세로토닌...2025.03.10
-
OS실습일지 느낀점2024.09.011. 실습일지 1.1. 병동 구조와 물품 혈액종양내과 병동의 구조와 물품은 다음과 같다. 병동은 U자형 구조로 되어있어 동선이 효율적이며, 총 40병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운영되어 보호자가 상주할 경우 1명만 가능하며, 환자 상태에 따라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거나 다른 이유로 보호자 상주가 필요한 경우에는 동의서를 받아야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면회는 제한되어 있다. 병동에는 보조 간호사 station이 있으며, 병실마다 화장실이 있으나 6-8호에는 없어 공동 화장실을 사용한다. 키와 체중 측정을 위한...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