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고백록내용요약2024.09.131.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1.1.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삶과 신학사상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 제국에 속해 있던 북아프리카의 작은 도시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354년). 그의 어머니는 성 모니카이다. 라틴어 문법과 「말 잘하는 기술」(修辭學)에 뛰어났던 아우구스티누스는 열 여섯의 나이에 북아프리카의 수도 카르타고로 유학을 갔다(370년). 그곳에서 한 여인과 동거에 들어간 아우구스티누스는 얼마 있지 않아 아들 아데오다투스를 얻었다(370/1년경). 떳떳하지 않은 동거 생활은 14년 동안이나 계속되었다(370~384년). ...2024.09.13
-
고백록2024.09.131. 소개 서론 《고백록》은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아우구스틴(354-430년)이 397년부터 400년 사이에 저술한 책이다. 이 책은 기독교 문학 중에서도 가장 많이 알려지고 읽히는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책에서 아우구스틴은 자신의 유아기부터 청년기까지의 방탕한 생활과 회심의 과정을 고백하고,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신학적 성찰을 담고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단순한 자전적 기록을 넘어서 자신의 체험을 통해 하나님의 은총을 드러내고,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 교리와 신학을 체계화하는 것이었다. 아우구스...2024.09.13
-
아우구스티누스 참된종교2024.10.231. 서론 1.1. 서양 사유의 근간,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오늘날 서구인들의 사유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두 가지 사상은 크게 헬레니즘(Hellenism)과 헤브라이즘(Hebraism)으로 집약될 수 있다.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의 문화와 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철학,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서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반면 헤브라이즘은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토대가 되는 구약성서에 근거한 사상이다.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나아가 이슬람교까지 세계 3대 종...2024.10.23
-
어거스틴의 악에 관한 생각2024.12.101. 예정론의 역사와 전개 1.1. 어거스틴의 예정론 어거스틴의 예정론은 기독교회사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한 주요 신학 사상이다. 어거스틴은 창세 전에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들이 반드시 구원받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인간의 자유의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구원의 주체이신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결정하신다. 어거스틴은 당시 펠라기우스학파가 인간의 자유의지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고 보았다. 펠라기우스파는 인간이 자발적 선택과 의로운 행위로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어거스틴은 인간이 타락으로 인해 부패한 ...2024.12.10
-
중앙아시아의 역사2024.10.301.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1.1. 중앙아시아의 범위와 자연 중앙아시아의 범위와 자연은 다음과 같다. 중앙아시아의 범위는 일정하지 않으나 작게는 파미르고원을 중심으로 동(東)투르키스탄으로 불리는 중국의 신장웨이우얼자치구와 서(西)투르키스탄으로 불리는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의 4개 공화국 및 카자흐스탄 남부를 합친 지역을 가리키며, 넓게는 내·외몽골(몽골과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 중국 칭하이성, 티베트고원, 아프가니스탄까지를 포함한다. 이 지역은 약 4,000㎡에 달하며, 지리적으로 유라시아대륙의 ...2024.10.30
-
신플라톤주의와 어거스틴2025.02.141. 서론 1.1. 신플라톤주의와 어거스틴 신플라톤주의는 플라톤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학파이다. 플라톤이 제시한 이데아 세계와 현상계의 이원론적 세계관을 더욱 체계화하였다. 신플라톤주의자들은 최고선인 이데아를 '일자(一者)'라고 불렀고, 이 일자로부터 모든 존재가 유출(emanation)된다고 보았다. 일자는 모든 것의 근원이자 절대 실재로, 영원불변하는 완전성을 지닌다. 어거스틴은 초기에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플라톤주의에 주목하였다. 신플라톤주의에 따르면 악은 '선'...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