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항체의 종류와기능2024.09.141. 면역체계 1.1. 면역반응의 특징 면역반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면역반응은 항원-항체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인체 내에 침입한 이물질이나 항원에 대하여 이를 인식하고 중화하거나 제거하는 생체 방어 기능이다. 면역반응은 크게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으로 구분되는데, 선천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 면역능력이며, 후천면역은 특정 항원에 노출되어 acquired되는 면역능력이다. 선천면역은 주로 물리적 장벽인 피부와 점막, 그리고 식균작용을 하는 대식세포와 같은 세포에 의해 이루어진다. 후천면역은 항원을 인식하고...2024.09.14
-
림프염2024.10.0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COVID-19 시대에 면역력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몸에서 첫 번째로 신호를 보내는 곳이 림프절이다. 림프절은 전신에 분포하는 면역기관의 일종으로 혈액 이외의 림프구와 백혈구 등의 체액이 이동하는 기관이다. 몸 전체에 500-600개 정도 있고 그 중 3분의 1이 목에 자리해 있다. 목은 코를 통해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첫 통로이자 다양한 음식물이 들어오는 곳이다. 이곳에 자리한 림프절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몸 관리의 첫걸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림프절염의 원인...2024.10.08
-
흉막삼출 치료2024.10.031. 흉막삼출(Pleural Effusion) 1.1. 정의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은 폐의 흉막에서 체액 성분이 스며나오는 삼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흉막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허파용량을 감소시켜 호흡곤란과 가슴막성 흉통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1.2. 병태생리 흉막액은 정상적으로 흉막강 내에 소량 존재하는데, 이는 벽쪽 흉막에 분포되어 있는 모세혈관으로부터 장액이 흉막강으로 계속 스며나와 폐쪽 흉막의 모세혈관이나 림프관으로 재흡수 되는 과정을 통해 유지된다. 대순환의 일부인 벽쪽 흉막 모세혈관 압력은 ...2024.10.03
-
급성경부림프절염 케이스2024.10.251. 서론 소아의 경부(목부위)에는 임파선이 많이 있다. 턱밑, 귀 앞뒤, 목 앞뒤, 후두쪽, 쇄골상부, 편도선부위 등에 수많은 임파선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정상적으로는 임파선은 만져지지 않으나 소아에서 목이나 겨드랑이에서는 1cm, 사타구니에서는 1.5cm까지는 정상적으로 만져질 수 있다. 보통 열 같은 전신적인 증상이 없고 아이는 잘 노는데 목 주위에 아프지 않고 색깔 변화도 없으면서 잘 움직이며 약간 단단한 조그만 덩어리가 만져지는데, 이것은 대개 감기, 중이염 같은 상기도 감염 후에 일시적으로 임파선염(임파선종창)이 생...2024.10.25
-
유방암 케이스스터디2024.08.201. 서론 1.1. 유방암의 정의 및 중요성 유방암은 유방 조직 안에 악성세포들이 모여 생기는 암을 말한다. 유방암 세포는 대부분 유관(모유가 지나는 통로)을 둘러싼 상피세포에서 처음 생성된다. 정상세포라면 세포 자체의 조절 기능에 의해 분열하고 성장하다 스스로 사멸하지만, 암세포들은 정상적으로 사멸하지 않고 과다 증식해 유방에 덩어리를 형성한다. 이 유방암 세포들은 유방조직을 파괴하고 변형시키는 한편 림프관이나 혈액을 타고 다른 기관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특히 유방에는 많은 림프관들이 광범위하게 뻗어있기 때문에 암세포가 겨드...2024.08.20
-
유방보존술 수술과정2024.08.271. 유방의 해부와 생리 1.1. 유방의 구조 유방은 2번째 갈비뼈와 6번째 갈비뼈 사이에 위치하며 대흉근 위에 놓여있다. 좌우로는 안쪽 흉골 부근에서 바깥 겨드랑이선 앞부분에 해당된다. 유방은 전흉벽의 얕은 근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흉근막과 앞톱니근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방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유두를 중심으로 15~20개의 유선엽(lactiferous lobes)이 바퀴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는 다시 20~40개 정도의 소엽으로 갈라지는데 이를 세엽이라 부른다. 각 소엽은 10~100개 혹은 그 이상의 선포들이 집합관...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