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한설야 과도기, 마르크스주의 비평론2024.09.301. 서론 '월북 작가'라는 점 때문에 우리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비평가이자 작가인 한설야는 그 연구에 있어서 큰 가치를 가진다. 카프(KAFF)라는 프로 단체 가입뿐만 아니라 그 단체 속에서 그 입장이 매우 특이하며 완벽한 전향 작가라고 언급할 수 없는 독특한 전향방식을 가진다는 것에서 그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설야의 가치를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보기 위해 그의 생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한설야의 생애 2.1. 집안의 분위기와 아버지의 모습 한설야는 1900년 8월 3일 함경남도 함주군...2024.09.30
-
평화통일에 대한 산문 써줘 수상 받을 수 있게2024.09.291. 정도상 작가 연보 1.1. 작가 소개 정도상 작가는 1960년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종안리에서 출생하였다. 작가 소개에 따르면, 어린 시절부터 생활고를 겪었던 정도상은 1971년 서울의 남성초등학교로 전학을 가면서 종로, 청계천, 명동 지역에서 껌팔이를 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이후 상도중학교와 장훈고등학교를 거치며 교회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고등부 학생회장을 맡기도 했다. 1981년 삼수 끝에 전북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 입학한 정도상은 군 제대 후 법대 4학년 휴학생이었던 이재규와의 만남으로 운동권에 들어섰다. 이 ...2024.09.29
-
레닌과 러시아혁명 비평문2024.09.231. 마르크스주의 이론 개요 1.1. 마르크스주의의 정의와 특징 마르크스주의는 독일의 철학자 칼 마르크스와 사회학자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창시한 사상체계로, 그들은 자신의 이론을 "공산주의"라 불렀다. 마르크스주의의 목적은 생산수단과 분배, 교환 등을 공유화하여 계급 없는 사회를 건립하는 것이다. 마르크스주의는 정신적 세계가 물질적 세계로부터 파생된다고 보는 "유물론"의 관점을 취한다. 즉, 인간 의식은 사회적 존재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철학이 현실 세계를 다루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모든 정신적 체계들이 실...2024.09.23
-
교육의 목적관 난점 제도의 아름다움2024.09.231. 교육심리 과제 - 현실의 교육문제와 교육의 과정 1.1. 제1부 현실의 교육문제 1.1.1. 우화 '애꾸눈 원숭이 나라'의 우화는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비정상적인 것을 정상으로 여기고, 정상적인 것을 오히려 비정상으로 취급하는 이상한 현상을 비유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이는 "사회적으로 정형화된 병폐"로, 어떻게든 비정상을 비정상, 정상을 정상으로 인식하게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단지 속의 사탕' 이야기는 타고난 특권의식에 사로잡힌 여러 집단의 편협한 아집을 내려놓아야 할 필요성을 드러낸다. 특히 '방만의...2024.09.23
-
80년대 민중문학 개요와 이론2024.10.081. 80년대 민중문학의 개념 1.1. 민중의 개념 민중은 그들이 살고 있는 시대의 성격과 연계되어 있는 상대적, 유동적 개념이다. 민중의 시대에서는 지배, 피지배의 관계가 원천적으로 제거되어 있어서 민족 구성원 전부가 곧 민중이 된다. 이 때의 민중은 역사의 주체로서 제각기 자신의 몫을 떠맡으며 인간다운 삶을 누리는 존재이다. 반면에 민중의 시대가 필요로 하는 조건이 결여된 시대는 비민중적 시대이다. 이 때에는 그 시대를 지배하는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한, 그 시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고통받는 사람이 민중이 된다. 즉 역사와 나라...2024.10.08
-
유치진 토막2024.10.241. 유치진 1.1. 생애 1905년 11월 19일 경상남도 거제도 둔덕이라는 마을에서 아버지 윤준수와 어머니 박우수 사이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8살 때 그는 서당에 다니며 『통감』을 읽었다. 어머니 집에 데릴사위로 들어와 농사를 짓던 유치진의 아버지는 독학으로 한의학을 공부하여 통영읍(현 충무시)에 1914년 통영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18년 졸업하였다. 취직을 위해 부산우체국에 부설된 체신기술원양성소를 다니다 통영우편소에서 근무했다. 그 즈음 3·1운동이 일어나 유치진과 부친에게 민족의식과 고등학문의 필요를 ...2024.10.24
-
마르크스주의2024.10.211. 마르크스주의 이론 1.1. 마르크스주의의 개요 마르크스주의는 독일의 철학자 칼 마르크스와 독일의 사회학자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창시한 학파이다. 그들은 자신의 경제이론을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공산주의라고 불렀는데, 이는 산업과 교통수단 등의 소유권이 개인이 아닌 국가에 있어야 한다는 그들의 신념을 나타내고 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8년 공동저서 『공산당 선언』을 통해 공산주의의 출현을 세상에 알렸다. 마르크스주의의 목적은 생산과 분배, 그리고 교환 수단의 공유화에 바탕을 둔 계급 없는 사회 건립이다. 마르크스주의는 사회...2024.10.21
-
일제강점기 시기 한국문학 발단과 의의2024.10.151. 무정 - 이광수의 대표작 1.1. 작가 소개 이광수는 1892년 평안북도 정주군 갈산면에서 출생하였다. 1902년 부모가 사망하면서 고아가 되었고, 1905년 일진회가 운영하는 학교에 들어갔다. 이후 1910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으며, 1916년 와세다 대학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집필 활동을 시작하였다. 1917년에는 처녀작 「사랑」을 발표하였고, 1918년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1919년에는 독립신문의 사장 겸 편집국장에 임명되었다. 1921년 허영숙과 재혼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펼치기 시작했는데, 대표작으로는 「무...2024.10.15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구체적으로2024.10.151. 서론 문학(文學)은 언어를 예술적 표현의 매개로 삼아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여, 인간과 사회를 진실되게 묘사하는 예술의 하위분야이다. 이러한 문학은 저자가 속한 사회적 특성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이에 문학과 사회는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상호작용을 통해 문학이 사회적 산물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세희의 저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문학적 특성 및 문화사적 의미와 1970년대 한국사회를 고찰하고자 한다. 2.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분석 2...2024.10.15
-
이육사의 시 광야 탐구2024.11.031.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 1.1. 현대문학의 정의와 전개 과정 현대문학의 정의와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현대문학은 개화기를 기준으로 1894년 이후의 문학을 일컫는다. 이는 고전문학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근대화 과정에서 새로이 형성된 문학을 의미한다. 개화기 이후 서구 문화의 유입과 개화운동, 계몽사상의 영향 속에서 전통 문학과는 다른 새로운 양상의 문학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현대문학은 크게 1910년대부터 1945년 광복 이전에 이르는 시기와 광복 이후의 시기로 구분된다. 191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시기에는 일...202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