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건축도시대학원 실내건축학과2024.09.231. 웰컴시티 1.1. 웰컴시티 소개 웰컴시티는 서울시 중구 장충동2가에 위치한 건축물로, (주)웰컴의 사옥, 식당, 갤러리 용도로 사용되며 규모는 지하 3층, 지상 5층이다. 대지 면적은 381평, 연면적은 1,035평 규모이다. 이 건축물은 2000년 4월에 준공되었으며, 건축가는 승효상(이로재설계)이고, 시공사는 삼협건설이었다. 웰컴시티의 주 구조는 내후성 강판(코르텐) 및 노출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다. 건축가 승효상은 코르텐 강판의 아름다운 색채로 인해 외부 모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익어가는 효과를 의도했다고 하였다...2024.09.23
-
서울대학교 미술관 도면2024.10.051. 서론 기존에는 우리나라 근대 건축물인 서울기상관측소를 조사하였으나 건축가가 불분명하다는 점과 이야깃거리가 많지 않다는 점 때문에 다른 건축물을 재조사하게 되었다. 1세대 건축과와 근현대 건축론에 맞는 이야깃거리를 갖고 있는 건축물로 고르다가 안양 공원 쪽에 김중업 박물관을 조사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근현대 건축론과 연관하여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와 건축물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사 및 분석하고자 한다. 2. 김중업 박물관 2.1. 건축물의 역사 김중업 박물관은 과거 1세대 건축가이신 김중업 선생님의 1950년에 ...2024.10.05
-
빌라사보아2024.09.231.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와 근대 5원칙 1.1. 르 코르뷔지에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는 스위스 태생으로 본명은 에두아르 쟈네레(Edouard Jeanneret)이다. 그는 건축가이자 도시계획가, 화가, 가구 디자이너 등 다방면에 걸쳐 활동한 20세기를 대표하는 현대 건축의 거장이다. 르 코르뷔지에의 초기 작품들은 사보아 저택(Villa Savoye, 1929)과 제네바 국제연맹본부 계획안(1927) 및 파리에 있는 스위스 학생회관(1932), 알제리의 도시계획(1929~34) 등을 들 수 있다. 그의 작품들은...2024.09.23
-
프랑스대사관2024.11.151. 김중업 건축가 1.1. 생애와 건축사상 김중업은 1922년 평양에서 태어난 한국의 대표적인 1세대 현대 건축가이다. 유복한 집안의 자제로 태어난 김중업은 어려서부터 시와 그림에 재능을 보였으며, 17세에 일본 요코하마 고등공업학교 건축과에 입학하여 근대 건축을 접하게 되었다. 이후 도쿄의 마쓰다 하라다 설계사무소에서 실무를 익혔고, 1952년 베니스에서 열린 유네스코 국제예술가 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면서 세계적인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를 만나게 된다. 이 만남은 김중업 건축가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52년부터 1...2024.11.15
-
빌라 사보아2024.11.011. 도미노 시스템과 근대 건축 1.1. 도미노 구조의 역사적 의미 근대 건축이 추구했던 기계주의의 본질을 내포하고 있으며, 건축이 더 이상 오브제가 아니고 근대적 삶을 기능적으로 담아내는 대량생산화될 수 있는 일종의 기계장치임을 시사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가지는 구축성을 가장 이상적으로 가시화시켰다는 점에서 도미노 구조의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2. 도미노 구조와 서구 건축의 구축성 철구조와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등장하기까지 서구 건축은 가구식 구조와 아치식 구조로 형성되어 왔었다. 그러나 근대 이후 새로운 건...2024.11.01
-
최고의 건축_유리의 진화2024.11.261. 천재 건축가 안도 다다오 1.1. 성장기 안도 다다오는 일본 오사카에서 출생하여 외가에서 성장한다. 그는 가난한 환경에서 자라서 프로 복싱선수 생활을 할 정도로 어려운 삶을 살았다. 고등학교 시절 2년간 프로 복싱 세계로 입문하지만, 재능이 없다고 느끼고 그만둔다.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권투선수로 생활비를 마련하며 지냈지만, 자신의 권투 실력으로는 최고가 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러던 중 어린 시절부터 목공소를 들락거리며 놀던 기억과 목수들이 외할머니의 집을 지어주던 추억이 떠오르면서 안도 다다오로 하여금 ...2024.11.26
-
발터 그로피우스2024.10.291. 발터 그로피우스 1.1. 발터 그로피우스의 주요 활동 시기 발터 그로피우스의 주요 활동 시기는 크게 4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근대적인 구조로서의 건축의 해로운 표현 가능성을 추구한 시기로, 1907년 P.베렌스의 사무소에 들어가서 10년간 근무한 후 독립하면서 파구스 구두공장(1911), 독일공작연맹(DWB) 박람회의 공장 및 사무소(1914)를 설계하였다"" 특히 유리로 만든 커튼 월의 대담한 사용법이 주목을 끌었다"" 제2기는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19년~1928년에 이르는 바우하우스의 교장 시절이었다""...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