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마르틴 루터 생애와 업적2024.09.161. 루터와 종교개혁 1.1. 루터의 생애와 종교개혁 1.1.1. 루터의 어린 시절 루터는 1483년 11월 10일 아이슬레벤에서 농부 한스 루터의 아들로 태어났다. 루터는 태어난 다음날 세례를 받고 성인의 이름을 받았다. 루터의 부모는 가난했으며 그는 7남매 중 첫째였다. 루터는 힘겨운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엄격한 교육 속에서 자랐다. 루터의 아버지 한스는 처음에는 농부였지만 후에 광부로 직업을 바꾸어 나중에는 상당한 부를 가지게 되었다. 루터는 당시 사회의 규범에 맞추어 엄하게 교육을 받았다. 그는 3년 동안 아이제나하에...2024.09.16
-
독일크리스천귀족에게보내는편지2024.10.051. 종교개혁의 배경 1.1. 정치적 상황 1.1.1. 서임권 논쟁 서임권 논쟁은 교황 그레고리 7세와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하인리히 4세 간의 성직 임면권을 놓고 벌어진 권력 다툼이었다. 서임권 논쟁 이전까지 황제가 교회의 내정을 간섭하고 교황 및 주교의 임면을 좌우하였다. 이에 교황 그레고리 7세가 교황권을 확립하고 로마 교회를 정화한 후 세속권에 도전하였다. 그레고리 7세는 성직매매를 금하고 성직자의 독신생활을 엄히 지시하였으며, 성직 임면권과 교회재산의 감독권을 국왕이나 제후에게서 빼앗아 교황의 권리 하에 두었다. ...2024.10.05
-
24년 중간과제물2024.10.031. 그리스도교의 세계관과 역사 1.1. 그리스도교의 기원과 발전 그리스도교는 유대교의 분파로 시작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를 흡수하고 유럽으로 확대되면서 세계 종교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그리스도인은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의 아들로서 십자가에 죽은 사건과 부활 후 승천하여 최후의 날에 다시 재림한다는 직선적 역사관을 신앙으로 고백하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로마 제국의 박해가 3세기까지 지속되었으나,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하면서 종교와 자유를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1054년 그리스도교는 필리오케 ...2024.10.03
-
하루만에 꿰뚫는 기독교 역사2024.10.011. 기독교 역사의 전환점 1.1. 콘스탄티누스와 밀라노 칙령 콘스탄티누스와 밀라노 칙령은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한 획을 긋는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서방 제국의 리키니우스 황제와 함께 밀라노에서 공동 칙령을 발표하여, 이로써 250년 가까이 지속되어왔던 기독교에 대한 박해가 종식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312년 서로마의 정제였던 막센티우스를 밀비우스 다리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물리치며 서로마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이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는 자신의 승리가 그리스도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고 믿었는데...2024.10.01
-
중세 수도원 운동과 현대 교회 부흥 운동2024.11.051. 중세 교회사와 종교개혁 1.1. 중세 기독교의 배경과 문제점 중세 기독교의 배경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중세는 9세기부터 16세기를 아우르는 시대로, 이 시기 유럽에서는 봉건제도와 교회의 신정정치가 대립하며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당시 대표 세력인 가톨릭이 권력을 쥐고 타락해감에 따라 종교개혁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게르만 민족들이 서유럽에 정착하며 기독교를 알게 되었고, 이들은 자신들의 문화권 안에서 기독교를 토착화하고자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자신들의 삶을 기독교 가르침에 따라 살고자 했으며, 이것이 중세...2024.11.05
-
밀턴과 청교도주의2024.10.091.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 1.1. 95개조 논제와 비텐베르크 교회 마르틴 루터(1483-1546)는 1517년 10월 31일 독일 비텐베르크 성 교회 문에 "95개조 논제"를 붙이면서 종교개혁을 시작하였다. 루터는 면죄부 판매와 카톨릭 교회의 부패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을 담아 당시 성직자와 성도들의 관심을 끌었다. 루터의 95개조 논제는 곧바로 출판업자들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되어 유럽 전역에 신속하게 전파되었다. 비텐베르크 성 교회는 루터가 종교개혁을 시작한 중요한 장소이다. 이 교회는 신앙과 믿음, 개혁을 낳은 "정...2024.10.09
-
주님의 기도2024.11.281. 십계명과 주기도문에 나타난 기독교 신앙의 이해 1.1. 십계명 구조분석 1.1.1.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 십계명의 첫 번째에서 세 번째 계명은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다. 첫째 계명은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로 유일신 신앙을 명령한다. 이는 하나님 외의 다른 어떤 신도 허용하지 않는 배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리고 하나님을 경외하고 섬기는 유일신 신앙은 인간의 자유의지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에 따라 주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유일신 신앙은 인간이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도적...2024.11.28
-
본회퍼 윤리학2024.12.091. 디트리히 본회퍼의 생애와 신학 1.1. 본회퍼의 생애와 순교 본회퍼의 생애와 순교는 다음과 같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1906년 브레슬라우에서 태어났다. 그는 정신의학과 신경학의 권위자이자 대학교수인 아버지와 외증조부가 신학자, 외조부가 황제를 모시던 목사였으며, 그의 친가에도 15세기에 저명한 신학자들이 있었던 신학의 전통을 이어받은 집안에서 자랐다. 12세부터 신학책을 읽기 시작한 그는 17세에 튜빙겐에서 공부했고, 18세에는 아돌프 폰 하르낙, 칼 홀, 라인홀트 제베르크 등 당대 주도적인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문하에 있었다...2024.12.09
-
조직신학 구원론2024.10.171. 구원의 서정에 대한 고찰 1.1. 구원의 서정의 정의 "구원의 서정(Order of Salvation)이란, 그리스도 안에서 행해진 구원의 사역이 죄인들의 심령과 삶에 주관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서술하는 용어이다. 이는 그리스도의 객관적인 구속 사역이 피택된 죄인에게 성령의 역사를 통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구원의 서정은 구원의 다양한 혜택들이 하나님의 백성에게 어떤 순서로 적용되는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원의 서정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에게 구원 사역을 펼치시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2024.10.17
-
기독교윤리학의토대와흐름2025.02.011. 서론 1.1. 기독교윤리학의 토대와 흐름 기독교윤리학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해왔다. 고전적 기독교 윤리학의 주요 모델로는 어거스틴, 토마스 아퀴나스, 그리고 루터와 종교개혁자들의 사상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자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철학적 사고와 윤리를 기독교적으로 해석하고자 노력했다. 어거스틴은 혼란스러웠던 교회 내부에서 기독교 윤리의 토대를 정립했다. 그는 신플라톤주의 철학에 기반하여 하나님을 완전한 선으로 보았고, 인간의 타락한 의지로 인해 악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그의 윤리학은 하나님을 사...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