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아리스토텔레스, 임마누엘칸트, 토마스홉스가 생각하는 인간에 대한 견해2024.09.161. 사회적 실재로서의 인간 1.1. 인간의 창조물로서의 사회 인간은 사회를 창조하여 만든다. 토마스 홉스에 따르면, 인간은 이성과 열정의 존재로서 자연상태에서는 전쟁 상태에 놓여있다. 따라서 인간은 이러한 자연상태를 탈피하기 위해 자신을 보호할 권리를 가진 절대정치국가인 리바이어던을 만들어냈다. 즉, 사회는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홉스는 사회 질서가 매우 바람직하지만 인위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지배의 목적이 아니라 시민적 자유와 경제적 자유를 허락하는 국가의 존재 이유가 개인에게 군사적, 정치적 보호를...2024.09.16
-
1. 합리론과 경험론(르네, 데카르트, 베이컨2024.10.111. 근세 철학의 전개 1.1. 근세 철학의 배경 신을 중심으로 한 중세의 철학기가 끝이 나고 세상은 급변하기 시작한다. 신대륙의 발견으로 값싼 노동자들을 많이 확보 할 수 있게 된 후 자본주의가 급격히 발달하고 페스트, 전쟁등으로 사회는 혼란에 빠진다. 그러한 상황에 종교의 타락이 드러나면서 교황권은 차차 추락하고 그와 함께 신의 권위도 점점 몰락하고 그와 반비례하여 자연과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근세가 시작 되는 것이다.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르네상스시대가 오면서 철할 또한 인간에게 집중하게 된다. 이...2024.10.11
-
합리론과 경험론2024.10.131. 서론 1.1. 근세 철학의 배경 근세 철학의 배경은 신을 중심으로 한 중세의 철학이 끝이 나고, 세상이 급변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신대륙의 발견으로 자본주의가 급격히 발달하게 되었고, 페스트와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발생하였다. 이런 상황 속에서 종교의 타락이 드러나면서 교황권이 추락하고, 신의 권위도 점차 몰락하게 되었다. 반면에 자연과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근세 철학이 시작되었고,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하면서 철학도 인간에게 집중하게 되었다. 이런 과정 속에서 근...2024.10.13
-
근대정치사상2024.11.041. 근대성의 형성과 변화 1.1. modernity란? modernity는 근대성이란 의미로써, 정치 사상적으로는 마키아벨리를 그 시초로 하고 시기적으로는 대체로 서구에서 르네상스 직후부터 오늘에 이르는 시대까지를 포괄한다. 따라서 근대성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르네상스 이전의 고중세시대와의 대비를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개인과 공동체의 측면을 이야기 할 수 있다. 고대 그리스시대에 개인은 공동체에 속할 때만이 그 존재의 의미를 보장받을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라는 명제가 있...2024.11.04
-
성무선악설2024.11.251. 인간의 본성에 관한 논의 1.1. 맹자의 성선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을 논한 인성론(人性論)이다. 맹자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두 가지 본성이 있는데, 하나는 동물들과 공유하는 자연적 본성이고 다른 하나는 오직 인간만이 갖는 도덕적 본성이다. 맹자는 이 도덕적 본성에 주목하여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다. 맹자는 인간이 천성적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단지성(四端之性)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즉, 인간에게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라는 선한 마음...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