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소쉬르2024.11.161.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언어학적 업적 1.1. 한국에서의 소쉬르 관련 연구 페르디낭 드 소쉬르와 관련된 연구는 이루 말할 것 없이 매우 많지만 국내 학자들에 의한 연구도 과거부터 꾸준히 있어왔다"" 그의 주요 개념인 랑그/빠롤, 공시태/통시태, 기호 개념을 소개하는 초기의 연구 논문들에서부터 노암 촘스키와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구조주의를 비교하는 연구,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해례본 집필과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를 비교하는 연구 등을 찾아볼 수 있었다"" 김슬옹(2007)의 세종대왕과의 비교 연구는 매우 흥미로웠는데 해당 연구는...2024.11.16
-
현대시대에 언어학자가 할일2024.09.101. 스위스 언어학자 소쉬르 1.1. 구조주의 언어학 1.1.1. 이론적 배경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의 이론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소쉬르의 이론들은 당시에 시대를 앞선 혁신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역사주의 관점에 머물러있던 기존의 언어학자들에게 큰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소쉬르는 기존의 역사주의적 관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전통적인 언어학에 대한 반성과 극복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즉, 소쉬르의 이론은 언어학에 대한 혁신을 불러일으켰다고 볼 수 있다. 소쉬르 이전에는 주로 언어의 ...2024.09.10
-
한국어 맞춤법 필요성과 한계 해결방안2025.06.201. 서론 1.1. 랑그와 빠롤의 개념 및 관계 '언어 규범'은 언어 사용에 대한 인위적 개입이며, '언어 변이'는 언어의 사용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랑그는 언어 공동체에서 고유하고 독특한 구조를 가진 제도로 나타나고, 빠롤은 개인적이고 이질적이며 우발적인 언어를 말한다. 이들은 개념적으로 완전히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랑그가 있기에 빠롤이 존재할 수 있고, 빠롤은 랑그에 선행하는 역할을 한다. 빠롤의 변화는 랑그의 변화를 가져오고, 빠롤은 랑그를 바탕으로 일어난다. 이들은 언어학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존재이다....2025.06.20
-
공시언어학 통시언어학2025.05.111. 서론 언어는 시대와 함께 변천하며, 체계적으로 달라진다. 15세기 국어의 모음이 7개였던 것이 500년 뒤인 오늘날 9개로 변화하는 등, 단어와 문법체계가 변화하고 방언과 사회계층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이렇게 복잡한 언어의 특성을 밝히는 학문이 언어학(linguistics)이며, 언어학은 공시적 관점과 통시적 관점에 따라 여러 분야로 나누어질 수 있다. 2.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 2.1. 공시적 관점 언어학에서 공시적 관점이란 때와 장소와 사회집단에 따라 정해진 하나의 언어체계를, 때에 따르는 변화와 장소나 사회집단에 따르...2025.05.11
-
공시언어학 통시언어학 차이점2025.05.261.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의 차이점 1.1. 대조언어학의 개념과 기능 대조언어학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언어 체계를 순수 이론적 또는 응용언어학적 목적으로 언어학의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며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는 학문이다. 대조언어학은 공시적 측면에서 언어 간에 각각 존재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며,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서로 대응하는 요소를 찾아내고 대조하는 두 언어의 용어와 단위를 명확하게 기술한다. 또한 언어 간 공통점 또는 차이점뿐만 아니라 그 보편성도 함께 고려한다. 대조언어학은 모어가 외국어 습득에 미치는...2025.05.26
-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의 차이점2025.05.291.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의 차이점 1.1. 대조언어학의 개념과 기능 대조언어학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언어들의 체계를 순수 이론적 또는 응용언어학적인 목적으로 언어학 여러 영역을 넘나들며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는 학문이다. 대조언어학은 공시적인 측면에서는 언어 간에 각각 존재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따라서 대조언어학의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서로 대응하는 요소를 찾아내고, 대조하는 두 항목의 용어와 단위를 명확하게 또는 통일적으로 기술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언어 사이의 공통점 또는 차이...2025.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