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한국어어문규범2024.09.261. 한국어 어문 규범 1.1. 서론 우리나라에서 '표준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1933년부터이다. 당시 맞춤법 통일안의 총론에는 맞춤법은 표준말을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며 표준말은 대체로 서울의 중류 사회에서 쓰이는 말로 정하였다. 이와 함께 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되면서 교과서의 내용은 어느 정도 표준어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맞춤법 통일안 작성에 참여했던 국어학자 이희승은 표준어의 필요성을 "같은 뜻을 가진 말이라도 지방과 시대에 따라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표준어가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표준어...2024.09.26
-
한글맞춤법의 이해2024.10.081. 서론 우리 민족은 어느 문화 민족 못지 않게 어문 규범을 마련하고 다듬어 우리말 우리 글을 올바로 이끄는 일에 정성을 쏟아 왔다. 실제로 1930년대에는 갖가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공표하여 바람직한 우리 어문 생활의 토대가 될 지침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세월이 흐름에 따라 우리의 어문 현실도 많이 달라졌다. 이에 1970년 초부터 1980년대에 걸쳐서는 그 동안의 어문 규정에 약간의 손질을 더하여 수정하는 한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2024.10.08
-
띄어쓰기2024.11.091. 한국어 정서법의 이해 1.1. 조사의 띄어쓰기 1.1.1. 격조사 격조사는 체언에 붙어 그 말의 다른 말에 대한 관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체언으로 하여금 일정한 자격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격조사에는 주격조사 '이/가', '께서', '에서', '서', 서술격조사 '이다', 목적격조사 '을/를', 보격조사 '이/가', 관형격조사 '의', 부사격조사 '에/에서/로/로써/과/라고/고/같이', 호격조사 '아/야' 등이 있다""." 주격조사는 문장의 주어를 표시하며, 서술격조사 '이다'는 본래 조사가 아...2024.11.09
-
맞춤법 틀린 사례2024.11.171. 한글 맞춤법 개요 1.1. 한글 맞춤법의 역사와 타 언어와의 비교 우리 민족 언어 생활의 역사는 한글 창제가 560년쯤 되었지만 실제로 한글로 문자 생활한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이다. 우리말은 음절별로 '모아쓰기'하기 때문에 연철과 분철의 문제가 생기는데, '훈민정음'에는 연철이냐 분철이냐의 규정이 없었다. 20세기 들어와 한글 표기방법에 대한 고민이 생기게 되었는데, 워낙 낱말마다 표기가 혼란스러워 표기를 고정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33년 오늘날 우리가 쓰는 맞춤법의 근간이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반...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