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칼빈 목회2024.09.301. 서론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교 연구는 초·중세 기독교나 근대 유럽 기독교 문명의 근원에 대한 탐구일 뿐만 아니라, 아시아 기독교의 정체성을 세우고자 하는 신학적 노력에 있어서도 의미심장하다"". 왜냐하면 어거스틴과 칼빈은 각각 기독교 제국인 로마가 몰락하던 시기와 중세 기독교 문명이 무너지고 유럽이 새로운 근대 사회로 재편되던 16세기 종교개혁 시기라고 하는 매우 드라마틱한 대 격동기에 그들 자신의 역사적 교회의 지도자로서 신학을 전개했기 때문이다"". 2. 칼빈과 어거스틴 2.1.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교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2024.09.30
-
마리아 해리스 교육목회 커리큘럼2024.10.021. 기독교 교육의 다섯 가지 커리큘럼 1.1. 코이노니아: 공동체의 커리큘럼 1.1.1. 공동체의 의미 공동체의 의미는 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모이는 생활로부터 가르침, 또는 섬김에의 봉사 행위를 위한 예배나 프로그램의 양식들이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한 하나님의 백성을 창조한다는 것은 창조되어야 할 그 백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일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데 있어서 공통적인 일정한 경향성이 있다. 이러한 것들이 소속감을 강화시키는 자극제가 되고, 공통적인 유산, 신념과 삶의 방식을 공...2024.10.02
-
조직신학 교회의본질2025.01.031. 디아코니아 교회로 가는 길 1.1. 디아코니아 교회의 이상과 현실 디아코니아 교회의 이상과 현실은 저자가 이 책을 통해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하는 주요한 주제이다. 저자는 교회가 신약성서가 말하는 교회의 모습, 즉 약자와 강자 모두가 서로를 섬기고 도와가며 한 공동체를 이루는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좁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교회는 디아코니아, 즉 그리스도의 사랑과 봉사의 정신을 실천하는 본질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대 교회는 물질주의와 권력지향성, 사회적 소외감 등의 문제에 직면해있어 이상...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