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세종한국어3의 14단원2024.10.091. 서론 듣기란 화자가 음성언어로 표현하는 의미를 이해하는 기능이다. 즉, 듣기는 청자가 화자의 말을 듣고, 들은 정보를 종합·분석·비판·감상하면서 의미를 새롭게 구성해 가는 인지적 사고 과정이다. 말하기는 언어를 써서 이뤄지는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다. 듣기와 말하기는 결국 정보와 지식습득과 의사소통과 정보를 을 위해 거쳐야하는 과정이다. 우선 말하기는 듣기과정을 거쳐야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듣기 활동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듣기 전 활동은 들을 내용의 배경이나 맥락을 만들어 줌으로써 학습자가 들을 내용을 예측할 수 있게...2024.10.09
-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듣기 전 활동2024.10.091. 서론 일상생활에서 듣게 될 내용에 관하여 아무 정보도 없이 그를 듣게 되는 경우는 드물다. 라디오를 들을 때, 친구와 대화를 나눌 때, 물건을 살 때에도 우리는 내가 무엇을 듣게 될 것이라는 어느 정도의 예측을 하게 된다. 이런 점에 미루어 보았을 때 교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듣게 될 내용에 관한 아무 사전 지식 없이, 갑작스럽게 듣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경우처럼 실제 듣기 환경과는 사뭇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는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2의 언어를 공부하는 학습자의 ...2024.10.0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비교 분석2024.11.1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1.1. 서론 최근 K-pop과 한국 드라마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며 한류 문화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의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한국어는 점차 지역어가 아닌 현대 범용어로서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회는 구성원 간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성립하고 발전해 나간다"" 의사소통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총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듣고 말하기 능력을...2024.11.19
-
세종한국어3 듣고 말하기 활동 개발2024.12.301. 서론 1.1. 과제 주제 및 목적 본 과제의 주제 및 목적은 세종한국어3 교재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페이지의 1, 2, 3번 듣기 전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개발하고 해당 듣기 전 활동의 의도와 수업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를 통해 듣기 전 활동의 개념과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과제의 목적이다"" 1.2. 듣기 전 활동의 중요성 듣기 전 활동의 중요성은 다...202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