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한국어 학습 전략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2024.09.251. 서론 1.1. 외국인 이민자와 한국어 학습 외국인 이민자나 근로자들은 제2언어로 한국어를 배워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때 정보나 기능을 이해하고, 저장하고, 그것을 재생하기 위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외국어 학습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를 외국어로 선택한 학습자가 한국어를 습득하기 위한 학습전략은 외국어 학습전략의 범주 안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외국인 이민자나 근로자들은 한국어를 모국어가 아닌 제2언어로 학습하게 되므로, 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외국...2024.09.25
-
듣기 교안2024.10.241. 서론 한국어 교육에서 관용 표현에 대한 교육은 어휘 교육 범주에 포함된다. 그동안 한국어 어휘 교육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어휘 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면서 관용 표현 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관용 표현은 한국인들이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언어 표현으로, 그 양적·빈도적 측면에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효과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관용 표현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관용 표현 교육은 단순히 의사소통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 이해에도 도움을 줄 수 있...2024.10.24
-
듣기 전략2024.10.241. 듣기 전략과 듣기 발달 1.1. 듣기의 정의와 필요성 듣기는 단순히 들려오는 소리를 듣는 수동적인 행위가 아니라 들려오는 소리에 집중하여 필요한 것을 선별하고, 능동적으로 처리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듣기는 말하기와는 달리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통제권이 전혀 없어 학습자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기능이기도 하다. 또한 학습자들이 부딪히게 되는 실제적인 한국어 담화는 교실 수업에서 사용되는 인위적인 듣기 자료와는 달리 다양한 구어의 특성이 혼재되어 있어 ...2024.10.24
-
한국어 듣기 이해의 정의 및 특징2024.08.141. 서론 한국어 교육의 목표는 한국어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상적인 의사소통은 주로 음성 언어를 매개로 해서 이루어진다. 읽거나 쓰지 않고 지나가는 날은 있어도 듣고 말하지 않고 지나가는 날은 거의 없는 우리의 일상 언어생활에서 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듣기는 문자 언어를 매개로 한 읽기, 쓰기는 물론이고 말하기에 비래서도 사용 빈도가 아주 높고 그만큼 듣기 능력은 원활한 언어생활을 위해서 꼭 필요한 기능이지만 듣기가 단순히 사용 빈도 때문에 중시되는 것은 아니다, 듣...202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