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정맥관관리2024.10.271. 중심정맥관 개요 1.1. 중심정맥관의 정의 및 목적 중심정맥관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이다. 이는 작은 혈관에 심한 자극을 주는 영양수액이나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대량의 수액이나 혈액공급을 위해, 여러가지 약물을 동시에 투여하기 위해,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을 측정하기 위해, 중심정맥의 혈액을 채혈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1.2. 중심정맥관의 위치 및 종류 중심정맥관의 위치 및 종류는 다음과 같다. 중심정맥관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2024.10.27
-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2024.11.15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1.1. 간호 진단 및 정의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Risk for Infection)은 병원균의 침입과 증식이 일어날 수 있고 그것이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가 될 수 있는 위험성을 의미한다"". 이는 침습적 시술, 수술, 외상, 감염예방법에 대한 지식부족, 부적절한 일차방어기전(피부손상, 조직손상, 체액정체 등), 부적절한 이차방어기전(헤모글로빈 감소, 백혈구 감소, 염증반응 억제 등)과 관련이 있다"". 감염은 국소적 감염과 전신적 감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국...2024.11.15
-
중환자실에서 쓰는 카테터 종류2024.12.041. 중심정맥관 1.1. 정의 및 특징 1.1.1. 중심정맥관의 정의 중심정맥관이란 혈역학적 감시, 수액 주입, 투석, 정맥 영양 공급, 대량 수혈, 승압제 투여, 항암제나 항생제 투여 등을 목적으로 카테터 말단이 우심방입구(상대정맥)에 삽입되는 관을 말한다. 주로 쇼크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중심정맥압 측정을 목적으로 중심 정맥관 삽입을 시행하는 경우, 1회의 정맥천자 이후 통증 없이 반복적으로 채혈이나 약물 주입 목적 때문에 많이 쓰고 있다. 실제로 2006년 한 해 충남대학교 병원 응급실에서만 2300여건이 행해진 것을 보...2024.12.04
-
욕창 관리와 예방을 위한 드레싱 선택2025.02.201. 서론 1.1. 욕창에 대한 이해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지속적 또는 반복적인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허혈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의 손상 상태이다. 압박이 없는데도 계속 붉은 피부가 보이며 갈라지고 물집이 생기고 벗겨지며 피부가 튀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피부표면 또는 더 깊숙이 침윤된 개방성 상처가 생기며 압박된 부위의 통증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피부가 벗겨지는 정도의 조그만 상처로 시작되지만 금방 깊숙하게 썩어 들어가는 상처로 진행하게 되고, 심하면 뼈가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