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4개
-
신경계 환자 응급 간호 정리2024.09.221. 뇌졸중 1.1. 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이란 뇌 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하는 것으로, 뇌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경색과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뇌출혈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1.2. 뇌졸중의 전조증상 뇌졸중의 전조증상은 다음과 같다. 마비: 몸의 한쪽이나 얼굴에 마비가 왔다가 풀린다. 감각 이상: 감각이 둔해짐. 언어 장애: 갑자기 남의 말을 알아듣거나 말하기 어려워짐. 시력 저하: 갑자기 시력이 떨어짐. 시야 장애: 눈에 커튼을 친 것처럼...2024.09.22
-
SDH 간호과정2024.09.2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현재 실습을 하고 있는 OOO에는 보통 폐와 뇌, 관절에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뇌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의식도 흐릿하고, 혼자서는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간호사선생님들은 많은 관심을 쏟고 간호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외상성 경막하 출혈, 혈종은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출격으로 뇌와 경막 사이의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데, 노인의 경우는 낙상인 사례가 흔하였고 케이스의 대상자도 낙상으로 인해 SDH진단을 받았기 때문에 더 고찰해 보고자 선정하였다...2024.09.29
-
신경과 수술레포트2024.09.281. 신경외과 수술 1.1. 두개수술 1.1.1. 두개절제술(Craniectomy) 두개절제술(Craniectomy)은 두개골 뼈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주로 종양, 혈종, 상흔, 뼈의 감염을 제거하거나 유아의 조기 두개골 유합증을 치료하기 위해, 또는 뼈에 눌려 또는 내부 출혈로 인한 뇌의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수술 시 하나 이상의 burr hole이나 twist drill holes을 이용하여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뚫고, rongeur로 두개골을 제거한다. 뼈는 Gigli saw, air-powered cr...2024.09.28
-
응급환자의 사정내용 정리2024.10.051. 간호사정 1.1. 간호사정의 정의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이란 간호과정의 첫 단계로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료수집, 타당화, 대상자 자료에 대한 의사소통과정을 말한다. 간호사정에서 대상자의 활동과 운동과 관련된 사정은 일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간호기록과 신체검사기록, 걸음걸이, 외모와 관절의 움직임, 운동능력과 제한, 근육의 양과 힘, 지구력, 부동과 관련된 문제 그리고 육체적 피로를 포함해야 한다. 간호사는 이러한 정보들을 간호대상자, 보호자, 다른 간호사 및 기록으로부터 수집하며 주관적 자료(대상자로...2024.10.05
-
지주막하출혈 간호진단2024.10.011. 서론 1.1. 지주막하출혈의 정의와 원인 사람의 뇌 실질을 감싸고 있는 뇌막은 경막, 지주막, 연막의 3종으로 구분되며, 이 중 중간에 있는 막이 마치 거미줄 모양과 같다고 해서 지주막 또는 거미막이라 한다. 그리고 가장 안쪽에 있는 연막과의 사이에 있는 공간이 지주막하 공간이다. 이 지주막하 공간은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뇌의 혈액을 공급하는 대부분의 큰 혈관이 지나다니는 통로인 동시에 뇌척수액이 교통하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뇌혈관에서 출혈이 생기면 가장 먼저 지주막하 공간에 스며들게 되는데, 이렇게 어떤 원인에 의해 지...2024.10.01
-
뇌내출혈 및 신경계 간호과정 사례보고서2024.11.0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은 모든 뇌졸중의 약 10% 정도지만, 예후가 나쁘며 약 50%가 첫 48시간 이내 사망에 이른다. 뇌내출혈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은 고혈압이며, 치료를 통해 질병으로 전개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고혈압, 당뇨, 흡연 중 2개 이상의 위험요인이 동시에 존재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현재 실습 중인 SCU에선 NS 환자가 많았고, 이 환자들은 뇌내출혈과 지주막하출혈로 이뤄져 있었다. 출혈성 뇌졸...2024.11.04
-
지주막하출혈 케이스스터디 및 간호과정2024.11.051. 서론 1.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는 우리 신체의 가장 중심이 되는 곳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고, 기억, 판단, 감각, 운동, 인지, 대화, 행동과 인격을 관장하는 중추로서 환경의 변화를 수용하여 해석하고 반응함으로써 신체와 정신을 통합하고 조절한다. 즉, 신체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여러 자극을 받아들이고 지각, 감각, 운동과 정신작용을 통해 적절하게 반응함으로써 여러 계통의 신체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중요한 기관이기 때문에 그만큼 복잡하고 손상을 받을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지주막...2024.11.05
-
비외상성 지주막하 출혈2024.10.161. 지주막하 출혈의 정의와 병태생리 1.1. 지주막하 출혈의 정의 사람의 뇌 실질을 감싸고 있는 뇌막은 경막, 지주막, 연막의 3종으로 구분된다. 이 중 중간에 있는 막이 마치 거미줄 모양과 같다고 해서 지주막 또는 거미막이라 하며, 가장 안쪽에 있는 연막의 사이에 있는 공간이 지주막하 공간이다. 이 지주막하 공간은 뇌의 혈액을 공급하는 대부분의 큰 혈관이 지나다니는 통로인 동시에 뇌척수액이 교통하는 공간이 된다. 뇌혈관에서 출혈이 생기면 가장 먼저 지주막하 공간에 스며들게 되는데, 이곳에 출혈이 일어나는 질환이 지주막하 출혈이...2024.10.16
-
외상성지주막하출혈 케이스2024.10.201. 개요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는 80세 남성으로, 고혈압 기왕력이 있는 환자이다. 내원 당일 오전 10시경 마당에서 쓰러진 채 발견되었으며, 후두부 열상이 있었지만 의식 저하 소견은 없었다. 오후 12시 30분경 입에 거품을 문 모습이 보호자에 의해 목격되어 119에 신고되었다.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집중관찰을 위해 신경외과 병동에 입원하였다. 대상자의 기저질환으로는 고혈압이 있었으며, 과거력상 입원력, 수술력, 외상력은 없었다. 대상자는 입원 당시 주 증상으로 seizure와 mental change를 호소하였...2024.10.20
-
성인간호학 뇌내출혈 간호진단 사례연구2024.10.1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은 고혈압과 관련되어 탄력이 떨어진 혈관이 혈압이 오르는 상황에서 파열되면서 뇌실질로 출혈이 일어나거나 혈종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2018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 사망원인 중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OECD 보건의료 질 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뇌출혈로 진료를 받은 환자수는 2012년 8만 713명 대비 2016년 9만 2,013명으로 증가했다. 진료비도 2012년 3,789억원 대비 2016년 5,801억 원으로 연평균 11....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