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해부생리학문제2025.01.301. 해부생리학 문제 1.1. 신경계 해부생리 1.1.1. 뇌와 척수발달 신생아의 두개골은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고 유동적이다. 이는 두개골의 성장과 발달을 위함이다. 뇌와 척수는 두개골과 척추에 의해 보호되며, 3층의 뇌막(경막, 거미막, 연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무색투명한 액체이다. 신생아 1일 분비량은 24ml이나 성인은 720ml로 늘어난다. 신생아의 뇌혈류는 성인의 50%로 적지만 중추신경계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지된다. 또한 뇌압도 출생 시 낮지만 점차 증가하여 ...2025.01.30
-
치위생해부학2024.08.301. 구강 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이나 머리를 절단했을 때 나타나는 면으로, 관상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이 있다. 관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 절단면이다. 횡단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의학적 진단과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1...2024.08.30
-
Cranioplasty2025.02.171. 서론 Cranioplasty 수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두개골은 뇌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두개골 결손이 발생할 경우 두통, 간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두개골 결손을 복원하기 위한 Cranioplasty 수술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를 통해 Cranioplasty의 정의, 원인, 수술 방법 및 절차, 수술 시 고려사항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Cranioplasty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사례를 통해 수술 과정과 간호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Cranioplast...2025.02.17
-
수술실 SDH 케이스2024.09.061. 서론 1.1. 수술실 실습 경험 수술실 실습 경험은 성모병원 수술실에서 진행하였으며, 그중 신경외과 파트에서 다양한 신경외과 질환과 관련된 수술들을 참관할 수 있었다"" 이런 뇌는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이자 생명의 모든 기능을 조정하는 사령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두부외상이 전체 사망자 수의 3%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재해 사고에서도 5.2~6.2%를 점유하고 있는 만큼 두부외상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두부외상 중 경막하 혈종은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에 체액, 혈액, 분비물이 축적되는...2024.09.06
-
치위생 해부학 정리2024.08.301. 구강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이나 머리를 특정 방향으로 잘라서 단면을 관찰하는 것이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수직적으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수직적으로 나누는 절단면이며,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몸이나 머리를 상하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1.2. 방향 및 위치에 관한 용어 내측(안쪽)은 몸의 정중면과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외측(가쪽)은 몸의 정중면과 먼 쪽을 의미한다. 근위(몸쪽)는 부착된 ...2024.08.30
-
아동간호학과 관련된 케이스2024.08.281. 서론 1.1. 두혈종의 정의와 발생 원인 두혈종은 출산 과정 중 두개골과 골막 사이에 혈액이 고여서 생기는 것으로, 분만 과정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두혈종은 두개골과 골막 사이의 혈관 파열로 인해 발생하는데, 두개골의 바깥 표면과 두골막 사이에 출혈이 일어나 머리가 혹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한다. 두혈종의 주된 발생 원인은 분만 과정에서의 압박이다. 자연분만 시 좁은 산도를 통해 통과하면서 두피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거나, 겸자분만이나 진공흡입분만과 같은 수술적 분만 방법을 사용할 경우 두피에 압력이 가해...2024.08.28
-
뇌진탕 어지럼증2024.10.171. 뇌진탕 및 지주막하출혈 1.1. 뇌의 구조와 특성 대뇌는 2개의 반구로 이루어진 뇌수의 커다란 부분으로, 고도의 신경 기능(운동, 언어 등)을 담당하는 중앙 관제소가 들어있다. 뇌활몸통과 뇌궁체는 신경세포 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뇌들보 아래에 있는 흰색 물질의 판으로 해마와 시상하부를 연결시킨다. 투명사이막은 얇은 이중막으로 2개의 대뇌 반구 앞부분을 분리하고 뇌들보로부터 뇌활몸통까지 연장되어 있다. 시각교차는 오른쪽과 왼쪽 눈의 시신경이 서로 연결되어 생긴 구조로, 두 신경섬유가 부분적으로 교차한다. 뇌하수체는 여러 가지...2024.10.17
-
신경과 수술레포트2024.09.281. 신경외과 수술 1.1. 두개수술 1.1.1. 두개절제술(Craniectomy) 두개절제술(Craniectomy)은 두개골 뼈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주로 종양, 혈종, 상흔, 뼈의 감염을 제거하거나 유아의 조기 두개골 유합증을 치료하기 위해, 또는 뼈에 눌려 또는 내부 출혈로 인한 뇌의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수술 시 하나 이상의 burr hole이나 twist drill holes을 이용하여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뚫고, rongeur로 두개골을 제거한다. 뼈는 Gigli saw, air-powered cr...2024.09.28
-
구강해부학2024.09.181. 구강 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에는 관상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이 있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1.2. 방향 및 위치에 관한 용어 내측(안쪽)이란 몸의 정중면과...2024.09.18
-
구강해부학2024.09.131. 구강 및 두경부 해부와 생리 1.1. 두개골의 구조와 기능 1.1.1. 뇌두개골 뇌두개골은 두개골의 일부로, 신경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뇌두개골은 두정골, 측두골, 전두골, 후두골, 접형골, 사골 등 6종류의 8개 골로 구성되어 있다. 두정골은 두뇌를 덮는 가장 넓은 부분으로, 두개관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측두골은 귀 주변 부위에 위치하며, 내이와 중이를 포함한다. 전두골은 이마 부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안와와 접두골을 포함한다. 후두골은 뒤통수 부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목뿌리 부분과 연결된다. 접형골은 ...2024.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