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영유아기 중 특정 연령대를 선택한 뒤 그 연령대에 맞는 그림책 한 권을 선정하고, 선정한 그림책을 언어지도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작성해보시오2024.09.171.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지도 1.1. 그림책에 기초한 언어지도의 교수법 언어지도에 그림책 활용법은 그림책에 나오는 다양한 이야기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학습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언어능력을 길러주는 교수방법이다. 유아나 교사가 함께 그림책들을 찾아 읽고, 그 내용에 대해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그런 반응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학습 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다. 연령대에 맞는 그림책을 찾아 읽은 후에 그 내용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서로 이야기를 나누거나 그 책과 관련한 다른 책을 찾아 읽어보는 등 매우 자연스러운 학습방법을...2024.09.17
-
문법요소표현 오용사례2024.09.221. 서론 한국어는 다른 요소가 모두 같다고 해도 첫소리가 예사소리냐 아니면 된소리냐에 따라서 전혀 다른 단어가 될 수 있다. '굴'이라는 단어를 [꿀]로 발음하는 순간 전혀 다른 단어가 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사소리를 내야 할 자리에 된소리를 내거나 반대로 된소리를 내야 할 자리에 예사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아무렇게나 발음하면 안 되는 것이다. 물론 앞뒤 맥락을 통해 다행히 뜻은 통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된소리를 과하게 내게 될 경우 듣는 이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상대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는 것...2024.09.22
-
표준적인 된소리 현상과 표준적이지 않는 된소리 현상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해 줘2024.10.311. 서론 1.1. 경음과 경음화 경음은 된소리를 말하며, 우리말에서 된소리는 'ㄲ, ㄸ, ㅃ, ㅆ, ㅉ' 다섯 개이다. 경음화란 경음이 아닌 소리가 경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즉, 'ㄱ'이 'ㄲ'으로, 'ㄷ'이 'ㄸ'으로, 'ㅂ'이 'ㅃ'으로, 'ㅅ'이 'ㅆ'으로, 'ㅈ'이 'ㅉ'으로 소리가 바뀌는 것이다. 경음(된소리)은 목에 힘을 주고 있다가 터트리면 나는 소리이다. 목에 힘을 준다는 것은 코와 입으로 나가는 바람을 완전히 막아서 목 안의 압력을 높인다는 의미이다. 그렇게 압력을 높인 다음에 'ㄱ, ㄷ, ㅂ, ㅅ, ...2024.10.31
-
영어발음연습2024.10.161. 한국어 발음의 특징과 외국인 학습자의 어려움 1.1. 자음 체계에서의 발음 어려움 1.1.1.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문제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문제는 한국어의 자음 체계에서 평음, 경음, 격음의 구별이 어렵다는 것이다. 영어에는 한국어의 된소리에 해당하는 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권 학습자들은 된소리와 평음을 구분하여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가다"와 "까다"의 구별이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식의 차이를 체감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발음 훈련이 필요하다."" 1.1.2. 중국어권 학습자...2024.10.16
-
표준적인 된소리 현상과 표준적이지 않은 된소리 현상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세요2024.11.041. 서론 1.1. 경음과 경음화 개념 경음은 된소리를 말하는데, 우리말에서 된소리는 ㄲ, ㄸ, ㅃ, ㅆ, ㅉ의 다섯 가지이다. 경음화란 예사소리였던 것이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평음(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경음(된소리) ㄲ, ㄸ, ㅃ, ㅆ, ㅉ으로 바뀌는 것이다. 경음(된소리)은 목에 힘을 주고 있다가 터뜨리면 나는 소리이다. 목에 힘을 준다는 것은 코와 입으로 나가는 바람을 온전히 막아서 목 안의 압력을 높인다는 뜻이다. 그렇게 압력을 높여 ㄱ, ㄷ, ㅂ, ㅅ, ㅈ을 발음하면 이 소리들이 터지면서 경...2024.11.04
-
길게 써줘2024.08.311. 표기법 및 어휘 사용의 적절성 1.1. 뒤처리/뒤처리 사이시옷은 두 단어가 합해져서 하나의 단어가 된 것, 그 두 단어 중 하나는 반드시 고유어일 것, 원래에는 없었던 된소리가 나거나 'ㄴ'소리가 덧날 것이라는 세 가지 조건에 모두 해당하면 적용하게 된다. 그러나 합성명사를 구성하는 뒤의 요소가 이미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나 거센소리(ㅋ, ㅌ, ㅍ, ㅊ)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뒤처리'의 경우 두 번째 단어의 첫소리가 'ㅊ'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따라서 '뒤처리'가 올바른 표기 ...2024.08.31
-
자음 체계의 변천2025.01.091. 서론 1.1. 자음 체계의 변천 고대국어의 자음체계는 제자 원리에 따라 상형 기본자와 가획자, 이체자로 이루어져 있었다. 기본자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상형하여 만들었고, 가획자는 기본자에 획을 더해 소리의 약하고 강함을 나타냈다. 이체자로는 ㆁ, ㄹ, ㅿ 등이 있었다. 이러한 17초성 체계에 전탁자 6자를 더해 동국정운 23자음 체계를 만들었다. 중세국어의 자음 체계는 22개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양순음, 치조음, 설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등 7개 계열의 자음이 사용되었고, 된소리 계열 자음도 등장했...2025.01.09
-
표준적인 된소리 현상과 표준적이지 않은 된소리 현상2024.09.061. 서론 1.1. 경음과 경음화 경음은 된소리를 말하며, 우리말에서 된소리는 ㄲ, ㄸ, ㅃ, ㅆ, ㅉ 다섯 개이다. 경음화란 경음이 아닌 소리가 경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즉, ㄱ이 ㄲ으로, ㄷ이 ㄸ으로, ㅂ이 ㅃ으로, ㅅ이 ㅆ으로, ㅈ이 ㅉ으로 바뀌는 것이다. 경음(된소리)은 목에 힘을 주고 있다가 터트리면 나는 소리이다. 목에 힘을 준다는 말은 코와 입으로 나가는 바람을 온전히 막아 목 안의 압력을 높인다는 의미이다. 그렇게 압력을 높인 다음에 ㄱ, ㄷ, ㅂ, ㅅ, ㅈ를 발음하면 이 소리들이 터지면서 경음(된소리)이...202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