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미생물 동정2024.09.251. 미생물의 분류와 명명법 1.1. 미생물의 분류법 1.1.1. 분류, 명명, 동정 분류, 명명, 동정은 미생물 분류학의 핵심 개념이다. 분류(classification)란 미생물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종별로 묶어서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명명(nomenclature)은 분류된 종에 대해 보편적인 이름을 붙이는 것으로, 미생물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성질을 이용하여 학명을 정한다. 동정(identification)은 자연계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을 분류 체계에 따라 검색하여 어떤 균종에 속하는지를...2024.09.25
-
핵심미생물2024.10.131. 미생물의 역사와 특성 1.1. 미생물의 발견 미생물의 발견은 과학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이루었다. 사람의 육안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미세한 생물체들에 대한 최초의 발견은 17세기 후반 네덜란드의 렌즈 제작자 안토니 반 레벤후크에 의해 이루어졌다. 레벤후크는 복합 현미경을 제작하여 이를 통해 최초로 세균, 효모, 원생동물 등의 미생물을 관찰하였다. 이로써 미생물의 실재가 확인되었고, 이는 생명체에 관한 당시의 통념을 크게 변화시켰다. 미생물의 기원에 대해서는 오랜 동안 자연발생설과 생물속생설 간의 논란이 있었다. 자연발생설은...2024.10.13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정리 - 조직병리학, 임상미생물학, 수혈학2024.10.111. 병리학 1.1. 조직학 조직학은 인체를 구성하는 각 장기와 조직의 미세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조직은 여러 종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포들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여 조직의 기능을 담당한다. 조직학에서는 이러한 세포와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한다. 주요 연구 대상은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 등이다. 상피조직은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층으로, 피부, 점막, 장기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결합조직은 세포 간 기질이 풍부하며 지지, 저장, 방어 등의 기능을 한다. 근육조직은 수축력을 가지고 있어 움직임...2024.10.11
-
가정이웃어야나라가웃는다2024.11.301. 정의 돈수와 더불어 사는 사회 1.1. 도산 안창호의 정의 돈수 도산 안창호의 정의 돈수는 "친애와 동정의 결합"을 의미한다. 친애란 부모가 자식을 귀여워하며 사랑하는 것이고, 동정이란 자식이 겪는 고통과 즐거움을 자신이 겪는 것처럼 여기는 것이다. 그리고 돈수(修)란 이러한 친애와 동정의 정의를 더 크고 많아지게 하며 깊어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친애하고 동정하는 자세를 공부하고 연습하여 이를 더욱 강화하고자 함이다. 안창호는 이러한 정의 돈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불행한 사람 중 가장 불행한 이는...2024.11.30
-
사회복지사의 자기노출2024.12.081.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공감과 자기노출의 활용기법 1.1. 공감의 활용기법 1.1.1. 공감 공감은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표현들에 민감하여 클라이언트의 생각이나 감정들이 설령 현실적이지 않다고 해도 이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며 수용하는 자세를 말한다. 공감은 동정(sympathy)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동정이 타자의 고통을 감소시켜야 할 것으로 분명히 가지함을 뜻한다면 공감은 타자의 긍정적·부정적 경험을 무비판적으로 이해하려는 자기 인...2024.12.08
-
정직이 항상 최선의 선택인가2024.09.021.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윤리적 쟁점 1.1. 윤리적 준거틀 1.1.1. 윤리기준 사회복지사의 윤리기준은 크게 개인적, 사회적, 조직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복지사는 첫째, 전문가로서 품위와 자질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전문성 개발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셋째, 업무와 관련해서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경제적 이득을 취하거나 꾀하지 않아야 한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첫째, 클라이언트의 권익 보호 및 추구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 둘째, 동료 사회복지사와 존중하고 신뢰하는 자세로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