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개
-
PACO2 (정상범위:35~45/ 자료를 가지고 개념도 완성해줘2024.09.121. 서론 동맥혈 가스분석(ABGA)을 선정한 이유는 응급실 실습을 통해 가장 많이 접했던 검사 중 하나이며, 새롭게 접하는 다른 검사들에 비해 이 검사에 대해서는 대충만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겨울 방학에 응급실 실습을 하면서 이 검사를 자주 보았고, 검사물 운반을 하면서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기에 이번 기회에 책 이외에 더 많이,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어 이 검사를 선정하게 되었다. 2. 동맥혈가스분석(ABGA) 2.1. 동맥혈가스분석의 목적 동맥혈가스분석(ABGA)의 목적은 폐의 가스 교환 능력을 알아...2024.09.12
-
약물요법과 간호 심혈관계 호흡기계 약물2024.09.23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호흡기계 구조 호흡기계는 상부 기도와 하부 기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기도는 비강, 부비동, 인두, 후두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 기도는 기관, 기관지, 폐포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비강은 한가운데 비중격에 의해 두 개의 콧구멍으로 나뉘어 있다. 비강의 벽은 점막으로 덮여있으며, 호흡부와 후각부로 구분된다. 호흡부 점막에는 섬모가 있어 공기를 정화하고 가습하는 역할을 한다. 부비동은 전두동, 접형동, 사골동, 상악동으로 구성되며, 두개골의 무게를 가볍게 하고 소리의 공명을 도와준다. 인...2024.09.23
-
성인 감각계 SBAR 의사소통보고서2024.09.211. 서론 1.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가역적인 기도폐색 및 기도의 과민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폐쇄성 폐질환으로, 응급간호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질환이다. 따라서 이 대상자를 사정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간호를 연구하여 대상자의 빠른 회복과 일상생활 수행 증진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이 사례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호흡곤란과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긍정적인 치료 경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급성 천식 대상자 간호 2.1. 일반적 사항 서OO은 36세 기혼 여성으로, 대...2024.09.21
-
기본간호학 산소화 문제2024.10.161. 기본간호학 개요 1.1. 교과목 개요 기본간호학의 교과목 개요는 "대상자의 기본요구에 따라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지식, 태도, 기술을 습득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즉, 간호학과 학생들은 이 교과목을 통해 대상자의 기본적인 요구사항들을 확인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간호과정을 학습하게 된다. 1.2. 학습목표 대상자의 기본요구인 산소화, 영양, 배설, 활동과 운동, 안위 및 안전 요구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지식, 태도, 기술을 습득하여 수행하는 것이 학습목표이다. 또...2024.10.16
-
특발성 폐섬유증 간호과정2024.10.131.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1.1. 병태생리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은 폐의 간질조직에 미만성 염증반응과 섬유화를 조직학적 특징으로 하는 원인불명의 폐질환이다. 폐 간질조직의 염증반응과 섬유화에 의해 폐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된다. IPF의 병태생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폐포 상피세포의 손상이다. 이는 흡연, 바이러스 감염, 미세흡인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폐포 상피세포에 염...2024.10.13
-
폐쇄폐질환2024.10.041.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정의 및 병태생리 1.1. 정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은 기류의 장애가 서서히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상태이다." COPD는 크게 두 가지 병태생리적 특성으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만성 기관지염으로 기도에 만성적인 염증이 있어 점액 과분비와 섬모기능 저하로 인한 기류제한이 발생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폐기종으로 폐의 alveolar septa가 파괴되어 respiratory bronchiole과 alveoli가 영구적,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폐의 탄성...2024.10.04
-
copd 간호진단2024.10.231. 서론 1.1.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정의 COPD(만성폐쇄성폐질환)는 폐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데 영구적인 문제가 생기는 질환들의 총칭이다. COPD에는 폐기종과 만성 기관지염이 포함된다. 이 두 가지 질환은 각각 다른 병태생리적 과정을 거치지만, 많은 COPD 환자들이 폐기종과 만성 기관지염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COPD는 외부 유해 물질들에 대한 비정상적인 폐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오랜 기간 동안 폐로 유입된 독성 가스나 입자들로 인해 폐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폐기능이 점점 악화된다. 이 ...2024.10.23
-
rds 체액불균형2024.10.141.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1.1. 정의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은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병이다. 미숙아의 경우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 위험이 크다. 1.2. 원인 미숙아, RDS 가족력, 주산기 질식, 모체의 당뇨병, C-sec, 태아적아구증, 쌍둥이의 둘째아이 등이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주요 원인이다. 미숙아는 전신적으로 각 장기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발달도 ...2024.10.14
-
폐부종 문헌고찰2024.12.091. 폐부종의 정의 및 원인 1.1. 정의 폐부종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폐의 간질조직이나 폐포 공간 내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상태이다. 이러한 폐울혈은 폐포와 기도를 침범하게 되는 과정에서 가스교환을 악화시키게 된다. 그 결과 저산소증을 일으키며, 심한 호흡곤란을 초래한다. 폐부종은 심장 문제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심장의 좌심실 기능이 저하됐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1.2. 원인 1.2.1. 심인성 폐부종 심인성 폐부종은 심장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폐부종이다. 주로 좌심부전으...2024.12.09
-
ABGA2024.10.221.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1.1. 정의 및 개요 동맥혈 가스 분석(ABGA)은 폐의 가스 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며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검사이다. 폐의 O2와 CO2 운반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 폐가 O2를 조직으로 얼마나 잘 전달하고 세포대사로부터 생긴 CO2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가를 보여준다. PaCO2, PaO2를 측정하여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COPD 등 폐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한다. 또한 동맥혈...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