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개
-
혈관 구조와 혈류의 관계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2024.09.111. 심혈관계의 해부생리학적 특성 1.1. 심장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는 펌프 역할을 한다. 심장은 끊임없이 수축하고 이완하는 박동을 하여 혈액이 온몸을 잘 돌 수 있도록 한다. 심장은 몸 중간에서 살짝 왼쪽에 치우쳐진 곳에 위치해있다. 심장의 왼쪽에는 좌심방과 좌심실, 오른쪽에는 우심방과 우심실이 위치해있다. 심방과 심실에는 모두 혈액이 존재한다. 심방이 하는 일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우리는 심장에서 온몸으로 곳곳에 피를 보내주고 나면 그 피가 다시 심장으로 들어와서 다시 나가는 것이 반복해서 일어난다. 혈액을 내보...2024.09.11
-
혈류의 속도2024.09.111. 혈액순환과 순환계 1.1. 순환계의 구성 1.1.1. 심장 심장은 순환계의 펌프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우심실과 좌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우심실은 폐순환을 담당하며, 좌심실은 체순환을 담당한다. 심장은 혈액을 박출하는 기능을 통해 신체의 각 기관에 혈액을 공급하여 세포 대사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전달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좌심실은 대동맥으로 혈액을 강력하게 내보내는데, 이때 대동맥 벽의 탄력성이 혈압 변화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심장은 체순환과 폐순환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기관이...2024.09.11
-
구강해부학2024.09.181. 구강 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에는 관상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이 있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1.2. 방향 및 위치에 관한 용어 내측(안쪽)이란 몸의 정중면과...2024.09.18
-
건강사정 심장2024.09.231. 심장 및 혈관 건강 사정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근육성 기관으로 흉강 중앙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4개의 공간, 즉 좌우 심방과 좌우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의 무게는 여성의 경우 약 255g, 남성의 경우 약 310g 정도이다. 심장의 모양은 역 원추형이며, 기저부는 좌측 제2늑간에 위치하고 있고, 첨부는 좌측 제5늑간과 좌측 중앙쇄골선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한다. 심장은 두 가지 주요 기능을 하는데, 우심장은 혈액을 폐로 보내어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는 폐순환을 담당하고, 좌심장은 산소가 공급된...2024.09.23
-
혈류속도2024.09.191. 혈액순환과 순환계질환 1.1.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 단면적이란 혈관을 잘랐을 때 단면의 면적을 의미한다. 혈관이 굵을수록 단면적이 크다. 대동맥이나 대정맥은 굵기 때문에 단면적이 크지만, 모세혈관은 단면적이 가장 작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총' 단면적이다. 총단면적은 모세혈관이 가장 크다. 이는 모세혈관이 육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가느다랗지만, 엄청나게 많이 가지쳐 있기 때문이다. 대동맥에서 가지쳐서 온몸 곳곳으로 퍼져나간 모세혈관의 단면적을 모두 합치면 그 총면적이 가장 크다.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는 반비례한다....2024.09.19
-
혈류속도2024.10.281. 혈액순환과 순환계질환 1.1.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 총단면적은 혈관의 전체적인 단면적을 의미하며, 대동맥이나 대정맥과 같이 큰 혈관은 단면적이 크지만 혈관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총단면적은 크지 않다. 반면 모세혈관의 경우 단면적이 매우 작지만 무수히 많은 모세혈관이 연결되어 있어 총단면적이 가장 크다. 이렇게 혈관 크기별로 총단면적이 다른 이유는 혈액을 전신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는 반비례하는 관계를 가진다. 즉, 총단면적이 큰 곳에서는 혈류 속도가 느리고, 총단면적이 작은 곳에서는 혈류...2024.10.28
-
말초동맥 폐쇄질환 케이스스터디2024.10.131. 말초동맥폐쇄질환 1.1. 구조와 특성 동맥은 허파를 거쳐 산소가 풍부해진 혈액을 좌심실로부터 온몸의 조직에 분포하는 모세혈관까지 전달하는 각종 혈관을 말한다. 동맥은 크기에 따라 대동맥, 동맥, 세동맥으로 구분된다. 좌심실과 연결된 대동맥으로부터 주요 동맥들이 분지되고, 다시 여러 번 분지를 반복하여 가느다란 굵기의 세동맥으로 분지한다. 이러한 동맥과 세동맥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전신으로 갈라져 모세혈관으로 이어진다. 동맥은 온몸의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고, 혈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돕거나 동맥의 가지가 상호간에 서로 ...2024.10.13
-
인체구조와기능 심장 문제2024.10.101. 인체 심혈관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서론 심장은 순환계통의 혈관을 통해서 혈액을 순환시키는 근육이다. 신장에서 내보내진 혈액은 폐로 이산화탄소와도 같은 대사폐물을 운반한다. 이와 함께 전신에 산소, 영양분을 몸에 공급하는 것이다. 심장은 온 몸에 혈액을 보내는 기관이기에 심장 자체도 많은 혈액이 필요하다. 이 심장에 혈액이 지나가는 혈관이 관상동맥인 것이다. 혈액은 혈관 속을 돌아다니는 액체이다. 다듬어져 있는 길을 다니면서 순환하는 관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가 혈액을 체취하여서 비커같은 곳에 넣어놓고 기다리면 빨간색의...2024.10.10
-
인체생리학2024.11.291. 순환계 1.1. 정의 순환계는 동물 체내에서 혈액이나 림프액을 만들고, 필요한 영양물질이나 산소를 각 기관으로 조직에 수송하며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은 폐와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출하는 체계이다. 순환계는 인체 내 영양분 전달과 노폐물 발생시 노폐물을 운반시키는 역할을 하는 체계이다. 또한 호흡 시에 발생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순환계는 호르몬 작용 조절 물질 이동에도 관여하며 체온조절의 작용도 가지고 있다. 또한 순환계는 동물계 생명체의 생성 시 최초 형성 기관으로 운반 작용 외에도 혈액,...2024.11.29
-
해부생리학에서 '소화생리' 부분 문제와 풀이를 만들어줘2024.12.211. 윌리엄 하비의 생애와 사상 1.1. 윌리엄 하비의 생애 윌리엄 하비는 1578년 4월 1일 영국 켄트주 포크스턴의 부유한 집안에서 아홉 자녀들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인 토마스 하비는 포크스턴에서 상당히 성공한 사업가였으며 그의 동생들은 런던에서 상인으로 성공했다. 하지만 그는 형제들 중 유일하게 과학의 길을 걸었다. 어린 시절, 윌리엄 하비는 캔터베리의 킹스 스쿨에서 열 살 때부터 교육을 받기 시작했고,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익혔다. 1593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의 곤빌 앤드 케이스 칼리지에서 장학금을 받으며 의...202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