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착한 사마리아인법 반대 반론2025.04.071. 서론 1.1. 착한 사마리아인법 제정의 필요성 1964년 새벽, 미국 뉴욕가에서 캐서린 제노비스라는 20대 후반의 여성이 강도에게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제노비스는 죽어가며 큰 소리로 도움을 구했으나 그 소리를 들은 38명 중 범행이 일어나는 32분 동안 직접 도와주거나 경찰에 신고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1997년에는 영국의 다이애나비가 프랑스에서 파파라치를 피하다가 교통사고를 당했으나, 사고현장을 촬영하기만 한 파파라치가 기소당한 사건이 있었다. 이러한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이 현대 사회는 개인주의가 점점 커지고 ...2025.04.07
-
윤리형이상학정초2024.10.291. 윤리형이상학 정초 1.1. 문제제기 《윤리형이상학 정초》와 관련하여 칸트는 3절에서 의지의 자유로서 '자율'의 개념을 설명한다. 이는 이성적 존재자는 '입법자'로서 정언명령에 따라 스스로 도덕법칙을 수립하여 행위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조별 토의 과정 중, 정언명령에 따른 도덕법칙이 실제 행위로 이어진 경우와 그저 그것을 사유하고 의식하였으나 실제 행위로는 이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 두 경우에 양자가 차이점이 있는지, 있다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칸트는 이 경우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등이 주요 쟁점이었...2024.10.29
-
착한 사마리아인법을 제정해야하는 이유2024.10.211. 착한 사마리아인 법에 대한 이해 1.1. 착한 사마리아인 법의 정의 착한 사마리아인 법의 정의는 "자신에게 특별한 위험을 발생시키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곤경에 처한 사람을 구해 주지 않은 행위를 처벌하는 법"이다. 즉, 자신이 크게 위험하지 않을 때 타인의 위험을 제거해 줄 의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착한 사마리아인 법은 도덕규범을 법 규범으로 승화시켰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법은 도덕의 최소한이라는 말처럼, 인간생활에서 최소한으로 꼭 지켜야 할 내용을 법으로 규정함으로써 강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1.2. 착한 사마리아인...2024.10.21
-
목적론적 윤리설2025.04.141.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 1.1. 두 가지 유형의 윤리체계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은 도덕 행동의 기준을 각각 행위의 결과와 행위 자체에 두는 두 가지 유형의 윤리체계이다. 목적론적 윤리설은 행위의 결과가 좋으면 그 행위는 도덕적으로 옳다고 보는 입장이다. 행복설, 쾌락설, 자아실현설, 진화설 등이 이에 해당하며, 대표적인 학자로는 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학파, 공리주의자 벤담과 밀 등을 들 수 있다. 공리주의가 이 체계의 대표적인 견해로, 행위의 결과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가져오면 그 행위는 ...2025.04.14
-
목적론적 윤리설2025.04.141. 목적론적 윤리설 1.1. 의미 목적론적 윤리설은 인생이나 우주 전체에서 우리 인간이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객관적인 목적이 있다는 신념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어떤 행위가 옳은지 그른지의 가치판단은 그 행위가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 달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 또는 방해가 되는지에 따라 판단한다. 즉, 목적론적 윤리설은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을 그 행위가 초래하는 결과의 좋고 나쁨에 두고 있다. 목적론적 윤리설에 해당하는 유형에는 행복설, 쾌락설, 자아 실현설, 진화설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철학자로는 아리스토텔...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