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의식수준 사정 및 단계2024.09.231. 신경계 중환자 간호 1.1. 의식상태 사정 1.1.1. 의식수준 평가 의식수준 평가는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확인하여 대상자의 의식 상태를 사정하는 것이다. 환자의 주소, 담당의사명, 현재 날짜와 장소, 자신의 질병 등에 대한 진술 능력을 통해 의식수준을 평가한다. 의식을 활성화하는 부위의 손상 정도에 따라 의식수준이 달라지며,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이름을 크게 부르거나 통증을 유발시켜 반응을 확인한다. 의식상태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도구로 Glasgow Coma Scale(GCS)을 많이 사용...2024.09.23
-
신경계 환자 응급 간호 정리2024.09.221. 뇌졸중 1.1. 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이란 뇌 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하는 것으로, 뇌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경색과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뇌출혈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1.2. 뇌졸중의 전조증상 뇌졸중의 전조증상은 다음과 같다. 마비: 몸의 한쪽이나 얼굴에 마비가 왔다가 풀린다. 감각 이상: 감각이 둔해짐. 언어 장애: 갑자기 남의 말을 알아듣거나 말하기 어려워짐. 시력 저하: 갑자기 시력이 떨어짐. 시야 장애: 눈에 커튼을 친 것처럼...2024.09.22
-
성인간호 IICP2024.09.011.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개념 1.1. 두개강 내의 압력 두개강 내의 압력은 두개 내부에 존재하는 압력을 의미한다. 두개강은 단단한 두개골로 싸여 있는 공간으로, 이 공간 내에는 뇌 실질, 뇌혈관, 뇌척수액 등이 존재한다. 이들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두개강 내의 압력을 유지하는데, 이를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이라고 한다. 두개내압은 정상적으로 5~15 mmHg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이는 두개강 내 구성 성분들이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2024.09.01
-
pupil reflex2024.09.041. 의식 수준 사정 1.1. 의식의 정의 의식이란 뇌의 여러 기능이 질서 있게 통합되어 자신과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의식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정신기능의 통합을 의미하는 "의식의 내용(자각)"과 깨어있음을 의미하는 "각성(arousal)"이 그것이다. 의식의 내용은 대뇌반구 전체가 관여하여 조절하는 반면, 각성은 뇌간의 망상활성계(RAS) 기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의식은 피질기능의 민감한 지표이며, 신경계 손상 시 쉽게 파괴되어 무의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의식수준은 동공반응과 뇌간기...2024.09.04
-
간호기록예시2024.08.291. 사망 1.1. 사망 선언 사망 선언이란 임상적 기준에 따라 의사가 환자의 사망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사는 환자의 동공 반사, 호흡, 맥박 등 생체 징후를 확인하여 사망을 판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동공이 완전히 고정되고 반사가 나타나지 않으며, 호흡과 맥박이 완전히 멈춘 상태가 확인되면 사망을 선언하게 된다. 의사는 환자의 생체 징후를 확인하고, 심전도 검사를 통해 뇌파와 심장 활동이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한 후 사망을 선언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임종 시기와 사망 시점을 공식적으로 기록하게 된다. 사...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