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3학년국어교실2024.10.041. 교과 활동과 연계한 독서지도 실천 1.1. 권장 도서 선정 및 독서 정보자료 확충 권장 도서 선정 및 독서 정보자료의 확충은 교과 활동과 연계한 독서지도 실천의 중요한 부분이다. 교육과정 분석 및 사제동행 독서 길잡이에 따라 학년별 권장 도서 목록을 작성하여 학생들이 읽을 책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선정된 도서 및 비도서 자료를 독서 정보자료 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영역별로 균형 있게 확충하였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독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2024.10.04
-
도서관 독서지도2024.10.201. 독서교육의 개요 1.1. 문학 감상 지도안의 내용 1.1.1. 독서전 단계 독서전 단계에서는 작품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하고 상상력을 최대한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먼저 등장인물의 모습을 상상하게 하여 작품에 대한 관심을 유발한다. 이를 위해 등장인물, 중심 소재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관련 글을 말하게 한다. 또한 작품의 제목을 알려주고 어떤 이야기일지 상상해 보도록 하며, 앞부분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글의 전개와 결론을 예측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글에 나오는 새로운 단어나 다의어에 대한 학습을 통해 작...2024.10.20
-
도서의 형식2024.08.271. 교육과정과 연계한 독서지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 1.1. 교육과정 강조 사항과 독서교육의 필요성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사고력 함양, 바른 인성 함양, 세계화·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하여 학교마다 독서교육 기반을 조성하고, 독서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며, 학생들이 좋은 글을 많이 읽을 수 있도록 수준별 독서 목록을 작성하여 국어과를 비롯한 각 교과 활동과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체계적인 독서지도를 통하여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