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영유2024.10.131. 독도의 개요 1.1. 독도의 위치 및 지리적 특성 독도는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속해 있다. 동해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릉도로부터 동남쪽으로 약 92km, 일본 오키섬으로부터는 약 157km 떨어져 있다. 동도(東島)와 서도(西島)를 비롯한 36개의 부속섬과 암초를 포함한 총면적은 0.186㎢이다. 독도는 동해에서 분출한 화산섬으로 울릉도의 지질구조와 유사하며, 상부는 조면암과 응회암, 하부는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도에는 유인 등대와 해양수산 시설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서도는 험준한 원추형...2024.10.13
-
독도 지도안2024.11.021. 독도 1.1. 독도의 지리적 위치와 자연환경 독도는 동해 최동단에 위치한 우리나라 영토로, 동도와 서도 두 개의 큰 섬과 89개의 부속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도는 북위 37도 14분 22초, 동경 131도 51분 57초에 위치하고 있으며, 육지(죽변)에서 약 214km,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88k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독도는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동도의 최고 높이는 98.6m, 서도의 최고 높이는 168.5m이다. 독도의 총면적은 약 54만 평에 달한다. 독도는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울릉군 울...2024.11.02
-
지체장애 독도2024.11.021. 독도 지키기 위한 조상들의 노력 1.1. 안용복 안용복은 조선시대의 어부로, 독도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중요한 인물이다. 안용복은 1693년 울릉도에 갔다가 일본인들이 독도에 침입하여 물고기를 포획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이에 안용복은 일본 관리에게 직접 가서 독도가 조선의 영토라는 것을 주장하고 문서로 그 권리를 인정받는 데 성공하였다. 안용복이 일본 관리를 만나 독도에 대한 조선의 주권을 주장하고 문서로 인정받은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당시 일본은 울릉도와 독도를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며 조선인의 출입을 금지하고 있었...2024.11.02
-
일본 코리아타운2024.09.031. 일본과 주변국의 영토 분쟁 1.1.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 1.1.1.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는 일본 오키나와에서 약 400km, 타이완에서 약 200km 떨어진 동중국해 남서부에 있는 다섯 개의 무인도와 세 개의 암초로 구성된 섬이다. 이에 대해 일본과 중국, 타이완 사이의 영유권 분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현재 일본이 실효지배하고 있다. 센카쿠열도의 위치가 남중국해와 북태평양으로 이어지는 해상교통로에 있어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1960년대 말 동중국해의 경제적 가치가 인정되면서...2024.09.03
-
동북아해역2024.11.261. 동북아시아의 영토 분쟁 1.1.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분쟁 1.1.1. 독도를 둘러싼 영토 분쟁의 역사 독도를 둘러싼 영토 분쟁의 역사는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430년부터 조선 정부는 울릉도의 공도 정책을 300여 년간 추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1618년 일본 막부가 어민들에게 울릉도 도항 면허를 내어주며 자신의 어로수역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독도 분쟁의 발단은 동래 어부 안용복이 숙종 19년(1619년) 울릉도 해역에서 고기를 잡다가 대마도 출신 어부들에게 납치되어 울릉도 해역이 조선 관할임을 주장한 데...2024.11.26
-
독도는 한국땅2024.08.281. 독도의 역사적, 법적 지위 1.1. 독도의 역사적 지위 1.1.1.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 512년, 신라의 장수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면서 독도 또한 한국의 영토로 인식되었다. 신라의 장수 이사부는 아슬라주의 군주가 된 이후, 우산국의 사람들을 우둔하며 사납고, 다루기 어려운 사람들이기에 항복을 받기 어려워 계략을 통해 항복을 받아야 한다 생각하였다. 이에 이사부는 나무로 사자를 만든 후 이를 내세우며 "너희들이 만약 항복하지 않는다면 이 맹수를 풀어 너희들을 밟아 죽이도록 하겠다."라고 말하였고, 이에 우산국의 백성들은...2024.08.28
-
고등학교 한국지리 핵심 요약 정리 노트2025.01.141. 우리나라의 위치 특성과 영토 1.1. 우리나라의 위치 우리나라는 북위 33도에서 43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수리적 위치로 인해 계절 변화가 뚜렷한 냉·온대 기후가 나타나며, 동경 124도에서 132도 사이에 위치하여 표준시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어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반도국가이기 때문에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정치·경제·문화적인 관계에 따라 변화하는 관계적 위치 속에서 동아시아...2025.01.14
-
대한민국 영토 독도2024.10.221. 독도 개요 1.1. 독도의 지리적 위치 지리적으로 독도는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87.4km, 동해안의 죽변에서는 동쪽으로 216.9km 떨어져 있다. 일찍이 조선 초기에 관찬된 『세종실록 지리지』(1432년)에서는 "우산(독도)?무릉(울릉)… 두 섬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날씨가 맑으면 가히 서로 바라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를 증명하듯 울릉도에서 맑은 날 울릉도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섬은 독도가 유일하며, 울릉도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울릉도의 부속도서로서 독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일본에서 독도와 가장 가까운 시...2024.10.22
-
일본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 해결책2024.09.291. 독도 영토 분쟁 1.1.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및 근거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일본은 독도가 17세기 초부터 약 70년간 울릉도와 함께 일본의 실효적 지배 하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일본은 1618년 도쿠가와 막부가 오오다니와 무라카와 두 가문에게 울릉도와 독도에서 조업할 수 있는 도해면허를 허가했으며, 이 두 가문이 독도를 경영했다고 주장한다. 이를 입증하는 고문서와 1966년 외무성 조사관 가와카미의 저서 「다케시마(竹島)의 역사지리학적 연구」를 제시하며, 조선이...2024.09.29
-
교재 ppt 찾는 법2024.10.021. 독도 지키기 프로젝트 1.1. 국제사법재판소와 영토 분쟁 국제사법재판소는 국가 간 영토 분쟁을 해결하는 핵심적인 기구이다. 영토는 국가의 존립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국가 간 영토 분쟁은 항상 민감한 사안이다. 국제사법재판소는 당사국들이 합의하에 분쟁을 제기하면 중립적인 입장에서 국제법에 기반하여 판결을 내린다. 국제사법재판소는 1920년 상설국제사법재판소로 출발하였으며, 1945년 유엔 헌장에 따라 현재의 국제사법재판소로 발전하였다. 국제사법재판소의 주요 기능은 국가 간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영토 분쟁, 국...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