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책 설이2024.10.221. 일본 음식 문화의 역사적 변천 1.1. 죠몽시대부터 에도시대까지의 음식 문화 변화 죠몽시대는 약 10,000년~기원전300년경으로 기초 식량을 수렵과 어로에 의지하였으며 이 때 식량저장과 조리를 하기 위한 도구가 만들어졌다. 중국 대륙의 기원전 5세기~4천년 경 벼농사가 시작된다. 벼농사가 시작되면서 청동기문화에서 철기문화로 넘어가는데 이 철기문화는 주변민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본의 야요이시대는 이때에 해당하며 일본에 쌀이 들어온 경로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시대이다. 아스카시대에는 조림과 구이, 찜 요리와 함께 한국과 ...2024.10.22
-
일본의 다도 화도2024.10.251. 세계의 차(茶) 문화 1.1. 차의 개념과 분류 차는 커피, 술과 함께 3대 기호음료 중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이다. 차는 차나무 잎을 가공하여 음용하는 엽차, 말차, 홍차 등을 가리키는데 국화차, 대추차, 마테차 등 차나무 잎 이외의 것을 달이거나 가공하는 음료는 관습적으로 차라 불릴 뿐 대용차로 취급한다. 차에는 카페인과 카레킨, 테아닌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이 심신안정과 정신집중에 도움을 주어 많은 사람들이 애용한다. 특히 테아닌(theanine)이 차의 심신적, 정신적 효능에 큰 역할을 ...2024.10.25
-
공예2024.09.251. 조선시대의 공예품 1.1. 금속공예 1.1.1. 종교적 금속공예품 조선시대의 금속공예품 중 종교적인 것으로는 대표적으로 사찰에서 범음구로 사용되는 범종과 금고·운판을 들 수 있다. 범종은 중국 범종의 형태를 받아들여 제작되었는데, 조선 중기의 범종은 통일신라와 고려의 범종의 기본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일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범종은 대중을 모으거나, 때를 알리기 위하여 울리는 역할을 하였다. 금고와 운판은 각각 쇠북과 구름 모양을 본뜬 악기로, 사찰에서 범종과 더불어 사용되었다. 이들 악기는 불교 의식을 ...2024.09.25
-
음식과 세계문화 기말2025.01.101. 음식과 세계문화 1.1. 소믈리에(Sommelier)와 바리스타(Barista) 소믈리에(Sommelier)는 포도주를 관리하고 추천하는 직업이나 그 일을 하는 사람이다. 중세 유럽에서 식품보관을 담당하는 솜(somme)이라는 직책에서 유래하며, 이들은 영주가 식사하기 전에 식품의 안전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였다. 19세기경 프랑스 파리의 한 음식점에서 와인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사람이 생기면서 지금과 같은 형태로 발전하였다. 바리스타(Barista)는 '바 안에서 만드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칵테일을 만드는 바텐더와 구분해...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