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살기좋은도시설계프로젝트2024.09.131. 주민참여형 도시재생 프로젝트 정책사례 1.1. 보스턴시 빅딕 프로그램 보스턴시의 위대한 굴착(Big Dig) 프로그램은 1970년대 시작된 환경 친화적 대중교통 수단정책의 전환과 더불어 흉물스러운 고가도로를 지하화하는 사업이었다. 1991년 첫 삽을 떴던 이 사업은 당초 1998년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2007년에야 완공되었고, 예상 공사비도 28억 달러에서 실제 146억 달러로 5배나 늘어났다. 이 사업을 통해 보스턴은 도심과 해변을 단절시키던 거대한 고가도로를 지하로 옮긴 뒤 지상부에 "그린웨이"라는 녹지공간과 공원을 ...2024.09.13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독후감2024.09.181. 소개 이 책은 건축가이자 홍익대학교 교수인 유한준 작가가 저술한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이다. 이 책은 도시를 보는 15가지의 인문학적 시선을 바탕으로 탁월한 논리와 감수성으로 도시가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이 책은 도시에 담겨있는 정치, 경제, 문화, 역사를 포함한 다양한 주제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어 읽는 내내 흥미롭다. 특히 제4장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뉴욕 이야기"는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이 장에서는 단조롭고 기계적인 격자형 구조의 도시인 뉴욕이 어떻게...2024.09.18
-
경관녹지설계2024.10.261. 도시계획과 도시디자인 1.1. 도시계획의 개념과 역사 도시계획(都市計劃)은 도시 생활에 필요한 모든 환경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간에 배치하려는 계획이다.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정립해 가며 이를 시행하려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계획은 도시의 장래 발전 수준을 예측하여 사전에 바람직한 형태를 미리 상정해두고 이에 필요한 규제나 유도정책, 혹은 정비수단 등을 통하여 도시를 건전하고 적정하게 관리해 나가는 도구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에서 도시계획의 법률상 정의는 특별시·광역시 또는 군의 관할 구역에 대하여 수립하...2024.10.26
-
u-city에 대해 정리해 보세요2024.10.171. 도시개발의 개념 1.1. 도시개발의 과정 도시개발의 과정은 도시적 형태와 기능을 지니지 않은 토지에 도시적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형태를 바꾸고 용도를 부여하는 행위 및 기존 시가지를 재개발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도시개발 사업은 그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도시기반시설, 도시 공간, 건축물 등의 물리적 요소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업 주체와 시행방식 등의 추진 요소를 갖추고 개발 계획 수립 및 입안을 통해 사업 추진 및 도시환경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고, 사업 실시를 통해 도시 환경을 조성하여 도시개발이 완료된다". 대규...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