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고2024.09.181.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1.1. 도시에 대한 다양한 시선 도시에 대한 다양한 시선은 도시가 지닌 복합적이고 동적인 성격을 반영한다. 도시는 물리적 공간인 동시에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차원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우선, 도시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상적 공간이다. 건축가 유현준은 도시를 "사람과 같은 유기체"로 보며, 도시 공간 속에서 사람들이 어떤 느낌과 경험을 하는지에 주목한다. 그는 특정 거리나 지역이 사람들에게 걷고 싶은 느낌을 주는 이유, 사무실이나 학교 건물이 사람들에게 주는 부정적인...2024.09.18
-
tod와 도시재생2024.09.251. 4차 산업혁명과 미래도시 (스마트 시티) 1.1. 서론 세계는 스마트시티(Smart City)를 중심으로 도시가 진화되고 있다. 스마트 시티는 대부분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점차 그 기술들이 세분화 되고 있다. 현재의 스마트시티는 환경기술과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환경기술과 정보기술은 개별적 진화가 아닌, 환경-정보기술융합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어떻게 형태적인 개발로 진화하고 있는지 객관적인 연구가 전무하다. 향후 형태적 진화와 미래상을 예측하기 위해서 디바이스/기술, 스마트시티 간의 ...2024.09.25
-
택지개발 문제점 레포트2024.09.281.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및 한국 하우징 디자인의 쟁점과 동향 1.1. 개발 경제시기 이전의 주택개발 (~1961) 우리나라 최초의 대규모 택지조성사업은 1932년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택지를 분할하여 판매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계획적인 주거지개발은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 제정 이후 경성부 등 지방단체에 의해 시행되었는데, 당시 경성을 비롯한 도시지역에서 주택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불량주택의 건축을 규제하고 계획적인 주택건설을 유도할 목적으로 제정된 것이었다. 이 법령에는 여러 가지 건축요건이 상세히 규정되었으...2024.09.28
-
성남 태평동 녹지 문제점2024.10.031. 성남시 개요 1.1. 지리적 특성 성남시는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중앙에 탄천이 흐르며 동쪽은 광주산맥의 지맥인 청량산과 남한산성이 가파른 고개를 이루고 있다. 평야지대를 제외한 지역은 대체로 산지 지형을 보인다. 기반암은 주로 선캄브리아대의 호상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평균기온은 12.4도로 내륙산지 지역의 전형적인 기후를 보이며, 겨울철 월평균기온은 -5도 내외, 여름철 월평균기온은 24도 내외로 연교차가 큰 편이다. 연강수량은 1,300mm 내외이며, 특히 여름철 강수집중률이 높다. 성남시는 서울의 동...2024.10.03
-
도시기본계획 평가2024.11.041. 도시계획 개요 1.1. 도시계획의 정의와 발전 도시계획은 도시의 토지이용과 공간의존적인 도시의 사회경제적인 활동들과 관련된 정책의 결정과 이러한 결정의 집행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을 의미한다. 도시계획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을 때에는 토지이용도의 개념이나 물리적인 계획만을 포함하는 단어였으나, 현재에는 사회경제적인 계획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한국에서의 도시계획은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도시계획을 설립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낀 정부가 1959년 국토계획학회의 창립을 계기로 추진되었다. 1962...2024.11.04
-
철근콘크리트 동명사7장2024.11.031. 초고층 철근 콘크리트 구조 건축물 1.1. 머리말 - 초고층 건축물의 등장 초고층 건축물의 등장은 1931년 완공된 미국 뉴욕의 Empire State Building(102층, 381m)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1969년 John Hancock Center, 1972년 World Trade Center, 1974년 Sears Tower 등 미국을 중심으로 초고층 건축물이 지속적으로 건립되었다. 초고층 건축물의 등장은 건설경기 부양과 복합기능에 의한 토지이용 극대화라는 경제적인 측면, 그리고 경제성장, 건축기술 및 빌딩...2024.11.03
-
u-city에 대해 정리해 보세요2024.10.171. 도시개발의 개념 1.1. 도시개발의 과정 도시개발의 과정은 도시적 형태와 기능을 지니지 않은 토지에 도시적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형태를 바꾸고 용도를 부여하는 행위 및 기존 시가지를 재개발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도시개발 사업은 그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도시기반시설, 도시 공간, 건축물 등의 물리적 요소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업 주체와 시행방식 등의 추진 요소를 갖추고 개발 계획 수립 및 입안을 통해 사업 추진 및 도시환경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고, 사업 실시를 통해 도시 환경을 조성하여 도시개발이 완료된다". 대규...2024.10.17
-
u-city에 대해 정리해 보세요2024.10.171. 도시개발 개념과 새로운 패러다임 1.1. 도시개발의 과정 도시개발은 도시적 형태와 기능을 지니지 않은 토지에 도시적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형태를 바꾸고 용도를 부여하는 행위 및 기존 시가지를 재개발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개발 사업은 사업 시행 과정을 통해 토지의 용도 및 형질 변경, 필지 구획 또는 정리, 대지 조성 및 기반시설 설치 등의 과정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건물을 신축 혹은 증·개축하는 형태로 완료된다.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도시개발 사업은 그 법적 근거 및 시행 주체, 토지 취득과 처분 방식에 ...2024.10.17
-
건축과 도시2024.10.161. 건축과 도시 1.1. 건축의 공공성과 건축가의 윤리 건축의 공공성과 건축가의 윤리는 풍요롭고 올바른 건축문화를 생성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건축가는 사회가 진정으로 요청하는 건축과 도시가 무엇인지, 현재 생산해내는 건축과 도시는 어떤 사회를 지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끊임없이 펼쳐나가야 한다. 건축과 도시는 사람들의 삶에 깊숙이 관여하는 분야이므로, 건축가는 인문학자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건축과 도시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개입할 것을 주문받는다. 이는 건축을 바라보는 새로운 지평을 열고 우리의 삶에 대한 전체적인 ...2024.10.16
-
오등봉공원 도시경관보존 관리2024.10.081. 도시생태의 바람직한 방향 1.1. 과제배경 현재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물질적 풍요가 삶의 목표라는 근대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인간중심의 인간다운 삶, 자연공존의 삶을 위한 방향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사람과 자연이 함께 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사회의 지속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이 주장되기 시작하면서 도시생태의 방향성에 대한 고심과 그에 맞는 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2. 도시생태의 개념, 목표 및 조건 도시생태의 개념은 자연환경을 보존하며 환경오염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도시의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