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공사계약서2024.10.141. 건설공사 도급계약의 성립과 계약서 작성 1.1. 도급 및 하도급계약의 의의 도급 및 하도급계약이란 당사자 일방이 어느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기는 낙성계약이다. 민법상 도급은 이러한 개념을 나타내며, 건설산업기본법에서도 도급이란 "원도급, 하도급, 위탁 기타 명칭의 여하에 불구하고 건설공사를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하도급이란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전부 ...2024.10.14
-
부동산 매매계약의 이행불능과 위험부담2024.10.091. 쌍무계약에서 위험부담 1.1. 급부, 반대급부의 개념 급부란 채권관계에 있어서 채권자의 청구에 의해 행해지는 채무자의 행위를 의미한다. 즉, 급부는 채권관계에서 채무자가 당연히 해야 할 작위 또는 부작위의 행위를 말한다. 채권관계에서 채무자가 부담하는 이러한 급부 의무에 대한 대가로 채권자가 제공하는 급부를 반대급부라고 한다. 반대급부는 쌍무계약에서 상대방의 급부에 대하여 행해지는 급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매매계약에서 매도인의 목적물 인도 의무가 급부이고, 매수인의 대금지급 의무가 반대급부이다. 이처럼 급부와 반대급부는 ...2024.10.09
-
건축기사 시공2025.02.081. 건축기사 시공 개요 1.1. 건축시공의 의의 및 경제적 목적 건축시공은 최적공기 내에 최소의 재료량으로 최고의 품질을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건축시공의 경제적 목적은 공기를 단축하고 적정 인원을 수급하며 최소 재료량을 사용하여 최우수한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다. 최적공기는 직공과 간공의 합이 최소가 되는 시점이며, 특급점은 비용을 무한대로 투자하더라도 최소한의 공기만이 소요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건축시공에 있어 기계화와 현대화를 통해 공기 단축, 생산성 향상, 공사비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를 위해 재료의 건식화...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