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0개
-
교양인을 위한 수학사2024.09.171. 수학의 역사와 발전 1.1. 수의 탄생과 발전 인류는 개수를 셀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수를 생활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수렵채집시대에 해당하는데, 부족이든 국가든 공동체 안에서 수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들이 그 내용을 알 수 있어야 했다. 이를 위해 특정한 모양을 그리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물표고, 빗금 눈금이고 상형문자다. 물표는 이후 5천 년에 걸쳐 흔히 사용되었으며, 그 후로는 빗금 눈금이 주로 사용되었다. 빗금 눈금은 대략 2~3만년 정도 이전에 아프리카와 유럽 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다섯을 셀 때 막대기 ...2024.09.17
-
유클리드의 창 기하학 독후감 및 느낀점2024.09.231. 유클리드의 기하학 혁명 1.1. 공간에 대한 개념화와 추상화 유클리드는 공간에 대한 개념을 추상화하여 정의하고 공간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그는 공간을 순수하게 추상적으로 다루어 물리 현상으로부터 독립시켰다. 유클리드는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 점, 직선, 평면 등을 정의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하학적 정리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에 대한 직관과 상식을 걸러내는 논리적 체계를 구축하였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모든 진술을 증명할 수 있는 형식적 체계로 발전하였다. 이는 공간에 대한 개념을 ...2024.09.23
-
귀납법과 연역법2024.09.231. 과학적 방법 1.1. 연역법 연역법(Deduction)은 전통적인 과학적 조사의 접근방법으로서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를 전제로 하여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법칙을 결론으로 이끌어 내는 추리 방법이다. 17세기 데카르트(R. Descartes)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연구 주제를 "가설"의 형태로 만들어 이를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연역법에서는 '구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가 있을 수 있다. 연역법의 대표적인 예는 3단 논법이며 주로 양적조사에서 활용되고 이론 => 가설 =...2024.09.23
-
유클리드의 창 독후감2024.10.241. 유클리드의 생애와 수학 혁명 1.1. 그리스 기하학의 발전 그리스 기하학의 발전은 고대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응용 기하학에서 시작되었다. 이집트인들은 세금과 부동산 경계 측정을 위해 기하학을 활용했으며, 바빌로니아인들도 기하학을 금융 및 공학 분야에 응용했다. 그러나 이들은 기하학의 원리나 체계를 발견하지 못했고, 오직 실용적인 목적으로만 기하학을 사용했다. 그런데 고대 그리스인들은 자연을 수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통해 기하학의 발전을 이루었다. 그들은 단순한 실용적 응용을 넘어 기하학 자체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다. 그...2024.10.24
-
글로벌 시대의 예술과 가치2024.10.071. 근대 사회와 예술의 변화 1.1. 근대적 주체의 형성 1.1.1. 데카르트와 이성 중심의 주체 데카르트는 근대 사회에서 새롭게 부각된 이성중심적 주체의 전형으로 평가된다. 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라는 유명한 명제를 통해 사유하는 이성이 곧 인간의 본질이자 존재의 근거라고 주장했다. 이로써 데카르트는 근대적 주체가 근거하고 있는 이성중심주의적 세계관을 확립하였다. 데카르트에게 있어 사유하는 이성은 곧 '나'의 존재 근거이자 모든 판단과 행동의 기준이 된다. 그에 따르면 이성은 신...2024.10.07
-
노암 촘스키2024.09.281. 노암 촘스키의 사상과 언어학 1.1. 노암 촘스키, 그는 누구인가 아브람 노암 촘스키(Avram Noam Chomsky)는 1928년 12월 7일 미국 펜실베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유태계 러시아인 이민 2세로 태어났다. 레인 컨트리 데이 초등학교, 필라델피아 센트럴 고교 졸업 후 펜실베니아 대학에 진학했다. 그는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언어학, 수학, 철학을 공부 했으며, 하버드 대학교 특별연구회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박사학위 논문 기초 연구를 수행했다. 1956년 MIT 대학 부교수부터 시작해 1959년에는 정교수, 1966년...2024.09.28
-
인문학 교육의 의미와 목표, 훌륭한 삶의 철학적 근거2024.10.161. 인문학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1.1. 인문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 인문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인문학은 인류에게 성찰의 장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 인문학의 특질은 성찰에 있으며, 자연과학이나 공학과 달리 기술 발전의 부작용에 대한 반성을 수행한다.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바람직한 미래 발전상을 제시하는 것은 인문학만의 고유한 재능이다. 역사적 비극인 유대인 홀로코스트나 원자폭탄 투하와 같은 사건들을 보더라도, 기술 발전 과정에서 충분한 성찰이 없었다면 이러한 비극들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2024.10.16
-
불멸 자아정체성2024.10.221. 서론 나는 누구인가? 나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다. 김광규 시인의 "나는 누구인가?"라는 시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나의 정체성은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내가 생각하는 '나'와 타인이 생각하는 '나'도 있을 것이고, 오늘의 내가 생각하는 '나'와 내일의 내가 생각하는 '나'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타인이 바라는 '나'를 연기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수많은 '나' 속에서 진정한 '나'는 존재하는 것인지, 나의 정체성은 무엇인지, 타인...2024.10.22
-
데카르트 칸트2024.10.181. 근대철학과 인식론 1.1. 데카르트의 이원론과 코기토 데카르트는 근대철학을 대표하는 합리론자로,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을 주장했다. 그는 세계를 극단적으로 단순화하여 물질과 정신이라는 두 실체로 구분했다. 물질의 근본 속성을 "연장"이라고 칭했는데, 이는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균질한 공간이자 다른 것이 들어갈 수 없는 꽉찬 공간이다. 이러한 기하학적이며 기계론적인 물질관은 근대 과학의 배경이 되었다. 한편 정신에 대해 데카르트는 순수한 사유, 즉 "코기토(cogito)"로 정의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2024.10.18
-
윤리적인 삶2024.10.021. 윤리적 삶의 이유와 정의 1.1. 윤리적 삶의 정의와 필요성 사람들은 대개 윤리적인 삶을 '일방적인 희생'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꼭 일방적이지 않다 해도 어느 정도의 희생이 따르는 것을 윤리적인 삶이라 평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인간이 윤리적인 삶을 영위해야 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이 생긴다. 그러나 이런 질문이 생기는 것은 윤리적 삶에 대한 인식 자체가 잘못됐기 때문이다. 인간이 윤리적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는 그렇게 사는 것이 가장 행복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행복은 현실적?표면적 의미와는 다른 성질의 것이다...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