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몸으로말해요2024.11.251. 서론 서양 철학의 전통에서 몸은 정신과 구분되어 인간에게 있어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받아왔다. 오랜 시간 동안 서양의 지성은 몸을 초월한 것, 정신, 의식, 영혼, 마음 등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자 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몸은 배제되었다. 이러한 접근법에 따라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에서부터 중세 기독교까지 몸을 욕망의 근원이자 참된 인식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겼고, 근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에게서 몸을 완전히 분리해내고 자신의 정체성을 오직 이성과 사고에만 정초하였다. 데카르트와 의사들에 의해 몸은 신비와 상징을 벗고 해부학과 생리학의 ...2024.11.25
-
글로벌 시대의 예술과 가치2024.10.111. 근대적 주체와 예술의 흐름 1.1. 서구 문화에서의 '근대' 근대 시기 서구 문화에서 '근대'는 인간의 이성이 강조된 주체의 시대를 의미한다. 인간은 이성적 능력을 자신의 본질로 여기게 되었다. 전통적인 신과 인간, 신체와 정신의 이분법이 무너지고, 인간 스스로가 인식하고 사유하는 주체로 등장하게 되었다. 데카르트의 "나는 사유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는 명제는 이러한 근대적 주체성의 대표적 표현이다. 이성적 능력을 가진 주체는 자신을 규정하고 타자를 표상함으로써 자기인식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주체와 타자, 인식...2024.10.11
-
버클리 비판2024.10.301. 서론 우리는 세계 속에 살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세계의 기원에 대해서도 아직 완전히 알지 못하고, 세계의 운행 원리 또한 인간은 완전히 깨닫고 있지 못하다. 어쩌면, 우리의 삶을 틀 지우고 있는 과학, 학문, 예술, 종교, 문화 등은 궁극적으로 이 세계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함이 아닌가 싶다. 이렇게 세계에 대해서 인간이 아는 것은 아직 극히 일부분이라 할 수 있지만, 우리는 일반적으로 '세계 속에 있음' 이 자체는 부정하지 않고 산다. 나를 낳아주신 어머니가 있음을 부정하지도 않고, 내가 지금 살아있게 하는 공기의 존재도 ...2024.10.30
-
과학적 방법 연역법 귀납법 차이점 토론2024.10.111. 과학적 방법론: 연역법과 귀납법 1.1. 연역법의 개념과 특성 연역법은 전통적인 과학적 조사의 접근방법으로서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를 전제로 하여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법칙을 결론으로 이끌어 내는 추리 방법이다"" 연역법은 17세기 데카르트(R. Descartes)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연구 주제를 "가설"의 형태로 만들어 이를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연역법의 대표적인 예는 3단 논법이며 주로 양적조사에서 활용되고 이론 => 가설 => 조작화(가설의 구체화) => 관찰극 검증이란 과정을 거치게 ...2024.10.11
-
1. 합리론과 경험론(르네, 데카르트, 베이컨2024.10.111. 근세 철학의 전개 1.1. 근세 철학의 배경 신을 중심으로 한 중세의 철학기가 끝이 나고 세상은 급변하기 시작한다. 신대륙의 발견으로 값싼 노동자들을 많이 확보 할 수 있게 된 후 자본주의가 급격히 발달하고 페스트, 전쟁등으로 사회는 혼란에 빠진다. 그러한 상황에 종교의 타락이 드러나면서 교황권은 차차 추락하고 그와 함께 신의 권위도 점점 몰락하고 그와 반비례하여 자연과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근세가 시작 되는 것이다.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르네상스시대가 오면서 철할 또한 인간에게 집중하게 된다. 이...2024.10.11
-
합리론과 경험론2024.10.131. 서론 1.1. 근세 철학의 배경 근세 철학의 배경은 신을 중심으로 한 중세의 철학이 끝이 나고, 세상이 급변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신대륙의 발견으로 자본주의가 급격히 발달하게 되었고, 페스트와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발생하였다. 이런 상황 속에서 종교의 타락이 드러나면서 교황권이 추락하고, 신의 권위도 점차 몰락하게 되었다. 반면에 자연과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근세 철학이 시작되었고,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하면서 철학도 인간에게 집중하게 되었다. 이런 과정 속에서 근...2024.10.13
-
기하2024.11.101. 기하학의 역사 1.1. 고대의 기하학 1.1.1. 고대 동양의 기하학 고대 동양에서도 기하학은 오래전부터 발전해왔다. 특히 고대 중국에서는 《구장산술》이라는 서적에서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와 부피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도형의 넓이 계산을 "방전"이라 불렀고, 입체도형의 부피 계산을 "상공"이라 불렀다. 또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응되는 개념을 "구고"라고 칭하였다. 이처럼 고대 중국에서도 기하학적 개념과 계산법을 발전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대 중국의 기하학 지식은 실용적인 농업과 건축 ...2024.11.10
-
교육철학자사상2024.11.111. 실존주의와 실존철학자의 사상 1.1. 실존주의의 역사적 개요 실존주의는 20세기 전반(前半)에 합리주의와 실증주의 사상에 대한 반동으로서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철학 사상이다. 실존이라는 것이 현대적인 의미로서 다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덴마크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1813–1855)에서부터이다. 키에르케고르는 힘겨운 기독교와의 논쟁으로 자신의 삶을 마감했으며 자신은 신보다는 인간의 양심을 믿는다고 했지만 그는 유신론적인 실존주의자로 말하여진다. 실존철학의 무신론적인 것은 니체(1844–1900)에 의해서부터이다. 그...2024.11.11
-
완전존재론 불완전존재론2024.09.051. 서론 1.1. 주제 선정 이유 데카르트와 스피노자는 누구나 한번쯤은 이름을 들어 봤을 만한 유명한 철학자 중 한명이다. 또한 그들은 철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렇다면, 수많은 철학자 중 지금까지 그들이 주목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들의 철학은 비슷한 것 같이 보이지만, 너무나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들 각각의 인식 흐름의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 인식 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볼 것이다. 또한 마지막으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그들의 철학적 이해가 주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2024.09.05
-
서양철학사 여행2025.02.221. 서론 1.1. 서양철학사 개관 서양 철학사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철학자들의 사상과 이론으로 이어져왔다. 고대 그리스 철학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탐구에서 시작되었고, 중세 시대에는 그리스도교와의 결합을 통해 종교적 색채가 짙어졌다. 근대에 접어들면서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등의 합리론과 베이컨, 로크, 흄 등의 경험론이 대두되며 이성과 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19세기에는 헤겔의 변증법, 마르크스의 사회 철학, 니체의 생철학 등 새로운 관점이 등장했고, 20세기에는 후설의 현상학...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