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트리지 사례2024.10.121. 서론 트리는 최상위 계층에 있는 정보를 가진 루트 노드에서 하위 계층으로 가는 노드로 이루어진 계층적인 구조를 지니는 자료 구조이다. 루트 노드와 나머지 노드가 분리된 집합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노드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체를 의미한다. 각 노드는 트리를 이루는 정점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자료 부분과 다른 노드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지닌다. 자식 노드는 부모 노드의 하위 레벨에 있는 노드이며, 형제 노드는 같은 부모 노드를 가지는 노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트리 구조는 일상생활에서 종종 사용되며, 특히 이진트리와 이진탐색트리...2024.10.12
-
데이터구조2025.04.161. 데이터 구조 1.1. 알고리즘 규격(정의) 알고리즘(algorithm)은 특별한 일을 수행하는 명령어의 유한집합이다. 알고리즘은 반드시 다음과 같은 5가지의 성질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입력(input)이 zero or more 있어야 한다. 둘째, 출력(output)이 at least one 있어야 한다. 셋째, 명확성(definiteness)이 있어 명령어가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유한성(finiteness)이 있어 유한 단계 후에 종료되어야 한다. 다섯째, 유효성(effectiveness)이 있어 기본...2025.04.16
-
재귀함수2025.04.201. 서론 1.1. C언어에서의 재귀함수와 포인터 C언어에서의 재귀함수와 포인터는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재귀함수는 함수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큰 문제를 작은 하위 문제로 분해하여 해결하는 데 활용된다. 이와 달리 포인터는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고 직접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변수이다. 재귀함수는 종료 조건과 재귀 조건을 명확히 정의해야 하며, 이를 통해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용 사례로 알고리즘 설계에서의 분할 정복 기법, 데이터 구조 순회, 수학적 계산과 문...2025.04.20
-
대학 erd2025.05.301. 서론 ERD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핵심 요소로,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론이다.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하며, 데이터베이스 설계자와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촉진한다. 대학 수강 신청 관리는 복잡한 데이터와 다양한 관계를 다루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 과목, 교수, 학과 등 다양한 엔티티가 있으며, 이들 간에는 수강 신청, 강의 지도, 과목 개설 등 다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해하기 위해 ...202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