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간호정보와 빅데이트2024.09.201. 젠더 데이터 공백과 그 영향 1.1. 경제적 측면의 젠더 데이터 공백 젠더 데이터 공백은 수천 년 동안 존재해온 사고방식의 산물이어서 그동안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더욱더 수면 위로 도드라졌다. 정부는 코로나로 악화된 경제를 살리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발맞춘 경제 부흥정책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한국형 그린 뉴딜' 정책을 발표했다. 그린 뉴딜 정책 중에서도 가장 핵심은 '디지털 뉴딜'이다. 돌봄 산업까지 디지털 돌봄과 돌봄 로봇 등으로 대체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에서 철저히 여성은 배제당하고 ...2024.09.20
-
젠더2024.09.071. 서론 신분 사회에서 벗어나 개개인의 인권을 존중하고자 목소리를 높이는 시대인 21세기인 만큼 사람들은 소수자의 인권 보호에 관심을 가지며 목소리를 높인다. 그중에선 태어난 성별과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내적 성별이 다르다고 판단하는 트랜스 젠더의 인권도 존재한다. 하지만 여기서 몇 가지 의문이 존재한다. 과연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내적 성별은 과연 누가 지정하고 부여한 사상일까? 그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스스로의 내적 성별이 어떠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을까? 과연 그 사상이 가부장적인 사회의 악습으로부터 나온 시선이라고 단정 짓지 ...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