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지식부족2024.10.011. 위절제술 후 식이관리 1.1. 수술 관련 지식 부족 수술 관련 지식 부족은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저해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수술 전 환자교육은 수술 및 수술 후 관리에 대한 환자의 지식을 높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회복을 돕는 데 필수적이다. 먼저 대상자의 수술 관련 지식 수준을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자는 수술 후 금식해야 하는 것, 식이요법 변화, 통증관리 등 일반적인 내용은 알고 있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모르는 상태였다. 따라서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제외하고 대상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중점적으로 교육하...2024.10.01
-
위암2024.10.311. 위암의 이해 1.1. 해부생리학적 구조 1.1.1. 위의 구조와 기능 위는 위 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소화가 끝난 후에는 이를 십이지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는 해부학적으로 분문부(fundus), 체부(body), 전정부(antrum)의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그 용적은 대략 1,500ml 정도이다. 위 말단부와 십이지장의 경계부에는 유문부(pylorus)가 있어 위에서 만들어진 chyme이 십이지장으로 흘러나가게 한다. 위벽은 장막(serosa), 근층(muscle layers), 점막하층(sub...2024.10.31
-
덤핑증후군 간호2024.11.201. 위절제술 후 나타날 수 있는 덤핑 증후군 1.1. 정의 덤핑(dumping)이란 '한꺼번에 쏟아버린다'라는 뜻으로 말그대로 다량의 위 내용물이 소장으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증상을 말한다. 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 위절제술 후 섭취한 음식이 정상적인 소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소장으로 급격히 유입되어 발생한다. 위절제술 후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에서부터 2, 3년간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다. 수술 후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나타나며, 아무 증세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1~2% 정도의 환자는 심각한 상태로 나타난다...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