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소방안전관리자 특급 문제2024.09.111. 산불 화재 사례 정리 1.1. 한국 산불의 특성 및 형태 한국 산불의 특성 및 형태는 다음과 같다. 산불은 산림 안에 있는 가연물질이 산소와 열이 만나 발생하는 산화반응이다. 산불은 화원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발생하지만, 연료나 산악지형, 기상조건에 의해서 간접적으로도 발생한다. 산불은 지형적 경사도와 풍속으로 인해서 더욱 가속화된다. 한국의 지형 특성상 산악지대가 많고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온건조하며 바람이 많이 분다. 그래서 전국적으로 산불이 많이 발생한다. 강원도는 산간지대가 많기 때문에 봄철에 특히...2024.09.11
-
산불감시원2024.08.311. 산불재난의 이해 1.1. 산불의 발생 및 원인 봄이 되면 따뜻해지면서 시베리아 고기압이 변질돼 이동성 고기압이 생기게 된다. 이 이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 남쪽으로 오면서 남쪽의 고기압과 북쪽의 저기압이 만나 샌드위치 형태가 되어 공기가 빠르게 지나가면서 강하고 건조한 바람이 불게 된다. 이러한 강한 바람과 건조한 바람이 불면 불이 빠르게 확산되어 대형 산불로 이어진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형 산불은 동해안 지역의 백두대간에서 주로 발생하며, 과거에는 짝수 해에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1524년 3...2024.08.31
-
특급소방안전관리자 2차2024.09.091. 소방안전관리자 및 보조자 선임 기준 1.1. 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 및 규모 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 및 규모는 다음과 같다.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50층 이상(지하층 제외)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아파트, 30층 이상(지하층 포함)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 연면적 20만㎡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이다.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30층 이상(지하층 제외)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아파트, 연면적 15,000㎡ 이상인 특정소방...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