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수능 성적표2024.11.131.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분석과 공정성 탐구 1.1. 서론 현대 교육에서는 모든 것이 평가되고 이는 수치화 된다. 이런 평가는 우리 사회에서 개인의 타고난 능력을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다고 생각되게 했다. 이는 19세기 후반 인간의 지적 능력이 측정될 수 있다는 정신측정학(psychometrics)에 기반한 것이고 이 능력은 타고난 것이며 평가를 통해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은 실질적 능력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능력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교육 현장의 선발과 경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평가를 통해 개인...2024.11.13
-
대학 입학생 선발 절차로서의 정의2024.11.021. 서론 우리나라의 대학입학전형 제도는 고등교육의 핵심 정책으로 전 국민적 관심을 받으며 시대적인 상황이나 정치적인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를 거듭하면서 시행되어왔다. 동시에 대학입학전형제도가 학생의 잠재적 대학 수학능력을 공정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타당한 제도인지에 대한 논란 또한 계속되고 있다. 지난 2008년도'3단계 대입자율화 방안'을 통해 양적으로 팽창되었던 대학입학전형제도는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대입전형은 핵심요소 중심으로 간소화되었으며, 현재까지 이 맥락을 유지하고 있다. 이후 2015학년도부터 ...2024.11.02
-
수능2024.09.021. 대학입시제도로서의 대학수학능력시험 1.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등장 배경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등장 배경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대학 입학 제도는 적격자 선발의 기능 외에도 고등학교를 비롯한 하급 학교의 교육 내용과 방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 대학 입시가 안정적인 직장과 상관관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입시제도가 바뀌면 자연스럽게 고등학교의 교육 내용과 교육과정이 변화하며 이를 준비하기 위해 초등학교부터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대학 입학 제도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1945년...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