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전실화재2024.09.141. 실내화재의 특성 1.1. 전실화재이전단계(pre-flashover fires) 1.1.1. 발화단계 내화조건물은 목조건물에 비해서 기밀성이 좋으며, 개구부가 닫혀 있어 산소공급이 없이 출화해도 실내에 있는 산소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산소가 감소함에 따라 화점부근에서 그다지 확대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 시기에는 불완전 연소로 인해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여 실내에 충만하게 된다. 그 후 화열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결국은 창유리 기타 불안전한 곳을 파괴하게 된다. 1.1.2. 성장단계 성장단계는 창유리 등의 파괴와 문이 열려 ...2024.09.14
-
생활속의 안전2024.09.301. 안전 수칙 및 대피요령 1.1. 화재 시 대피요령 1.1.1. 화재의 정의 화재는 실화 또는 방화 등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의도에 반하여 발생하는 연소현상이다. 이는 사회공익을 해치거나 경제적인 손실 및 인명 피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소화할 필요성이 있는 연소현상이다. 또한 소화시설 또는 그에 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는 연소현상을 말한다. 즉,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1.1.2. 화재의 원...2024.09.30
-
생활속의 안전2024.10.061. 서론 우리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직접 사고를 경험할 수도 있고, 주위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사고를 목격하는 경우도 있다. 사고라는 것은 전혀 예측할 수가 없다. 과거에는 안전보다는 발전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안전에 대해서 깊이 있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는 안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고, 사고가 일어남으로써 발생하는 피해를 줄이는 것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TV, 인터넷, 학교 교육 등 안전에 대한 공익광고, 교육이 상당히 중요함을 알리고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산업체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일...2024.10.06
-
생활 속의 안전 리포트2024.10.181. 서론 이 리포트는 사회 재난 사고 중 화재, 교통사고, 익사사고, 추락사고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요령을 다루고 있다. 사회 재난 사고란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규모 피해와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 재난 사고는 천재(天災)와 인재(人災)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인재(人災)는 사람에 의해 발생한 재앙을 뜻한다. 각종 예방법과 대처법을 미리 숙지하고 실천하는 것은 인재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다양한 유형의 사회 재난 사고에 대한 예방과 대응 요령을 알아보는 것은 생활 ...2024.10.18
-
재난사례2024.10.131. 일상생활에서의 재난관리 1.1. 화재 예방 집에서 불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전기가 누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보통 가정에서는 전기를 사용할 때 멀티탭을 사용한다. 멀티탭에 지나치게 코드를 많이 꽂게 되면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그러므로 쓰지 않는 콘센트는 분리시켜놔야 한다. 전기용품을 사용할 때 먼지가 쌓이는 것도 화재의 위험이 될 수 있으므로 먼지를 잘 닦아야 한다.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가스레인지는 화재나 화상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 펄펄 끓는 냄비를 방치하면 화재가 일어날 수 있으며 가...2024.10.13
-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 수업지도안 - 불이야! 어떻게 대피하지? 및 재난 안전2024.11.241. 안전한 생활 교육 1.1. 화재 안전 1.1.1. 화재의 위험성 화재의 위험성은 실로 크다고 할 수 있다. 불은 매우 빠르게 번지며, 연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호흡 곤란을 겪게 된다. 또한 화재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어 그 위험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불이 순식간에 번져서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불은 가연성 물질을 따라 빠르게 전파되며, 열기와 연기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위험에 빠지게 된다. 연기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호흡 곤란과 질식사의 위험이 있다. 또한 화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2024.11.24
-
생활속의 안전 리포트2024.10.201. 화재 사고 예방 및 대응 1.1. 화재 발생 인지 및 대처 불이 발견되면 즉시 '불이야'라고 큰소리로 외쳐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 화재 경보 비상벨을 눌러 화재 경보를 울려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고 빠른 대피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해야 한다.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옥상으로 대피한다. 불길 속을 통과할 때에는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 등으로 몸과 얼굴을 감싸서 유해 가스가 폐에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연기가 많은 경우에는 한 ...2024.10.20
-
화재예방2025.01.211. 화재예방 1.1. 화재예방 규정 1.1.1. 화재예방을 위한 소방안전 점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에 따라 병원은 년 1회 이상 상반기와 하반기에 소방시설 정기점검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소방시설이 관련 법령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문제가 발견된 경우 즉시 보완조치를 취한다. 소방시설 작동기능 점검과 종합정밀점검은 전문업체에 위탁하여 실시한다. 작동기능 점검은 상반기에, 종합정밀점검은 하반기에 진행하며, 점검 결과와 개선사항은 소방서에 제출하고 원장에게 보고한다.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