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독감2024.10.2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2년 52주차(12월 18~24일) 기준 독감 의심환자 분율은 외래 1000명당 55.4명으로 직전주(41.9명)보다 13.5명(32.2%) 증가했다. 이번 절기 유행기준인 4.9명의 11.3배까지 치솟았으며, 이번 절기 독감 유행기준보다 11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11월부터 4월 사이에 유행하며 이 시기가 실습기간과 겹친 만큼 입원 환자의 절반 이상은 인플루엔자 A형 환아들인 것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매년 유행하는 질병이고, 주로 65세 이상 노인, 만...2024.10.22
-
폐렴병태생2024.10.051. 폐렴의 정의와 분류 1.1. 폐렴의 정의 폐렴(pneumonia)은 폐실질조직의 염증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아동기 내내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폐렴은 원발성이거나 다른 질환의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해부학적으로 폐렴은 (1) 한 엽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된 대엽성 폐렴(lobar pneumonia), (2) 말초기관지와 그 주위에 있는 소엽이 포함된 기관지 폐렴이나 소엽성 폐렴(bronchopneumonia), (3) 폐포벽과 기관지 주위와 소엽간의 조직이 포함된 간질성 폐렴(interstitial pneumoni...2024.10.05
-
볼거리 케이스2024.10.131. 서론 1.1.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의 정의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이하선(귀밑샘)에 발생한 염증이다. 볼거리는 파라믹소 바이러스(paramyxovirus)과에 속하는 단일 혈청형의 RNA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감염자의 타액에 있는 바이러스가 직접 접촉이나 비말 감염을 통해 전파되며, 잠복기는 보통 14-21일 정도이다. 감염자의 종창이 시작된 전후가 가장 전염력이 강한 시기이다. 1.2. 유행성 이하선염의 원인 및 전파 경로 유행성 이하선염의 원인은 paramyxovirus과에 속하는 RNA...2024.10.13
-
아동간호학 유행성이하선염 케이스스터디2024.11.12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은 예방접종의 보편화로 인해 감염 빈도수가 급격하게 줄어들었지만 학교생활 등 집단생활을 하게 되는 아동 중 한명이 걸리게 되면 집단감염의 우려가 있고 예방접종을 하더라도 걸리는 경우가 있어 새학기가 시작되는 시기가 되면 유행성 전염병에 관한 뉴스도 자주 접하게 되어서 궁금증이 생겼었다"". 질병의 치료는 자연치유가 되는 질병이라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로 증상을 잡으면 되지만 제대로 치료가 되지 않았을 시에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이 결코 무시 못 할 수준인 것 같다"". 가장 ...2024.11.12
-
소아 마이코플라즈마 페렴2024.08.291. 폐렴 1.1. 정의 및 특징 폐렴은 폐 실질 조직의 염증을 의미하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청진상의 이상소견이 관찰되거나 흉부 방사선의 이상 소견이 보이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주로 바이러스와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드물게는 이물질 및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면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도 있다. 폐렴은 소아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영아기와 어린 아동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이는 아동의 호흡기관이 성인에 비해 더 작고 폐쇄되기 쉬우며, 감염에 취약한...2024.08.29
-
수족구병2025.02.2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수족구병은 대부분 자발적으로 회복되지만, 신경학적 및 심장·폐 합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장기적인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EV-A71 백신이 일부 HFMD를 예방할 수 있으나, CVA6, CVA16 등 여러 병원체의 동시 순환과 새로운 바이러스 유형의 출현으로 인해 기존 예방접종만으로는 부족하다. 다양한 병원체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 및 예방책이 필요하다. 더불어 HFMD에 대한 명확한 치료법이 없고, 현재 치료는 주로 ...2025.02.24
-
홍역 케이스스터디2025.03.101. 서론 홍역은 파라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홍역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열성 발진성 감염증이다. 코플릭 반점이라는 뺨 점막의 특징적인 발진을 동반하며, 고열과 전신 급성 발진 증상이 나타나는 전염병이다. 공기를 통해 감염되므로 사람과 접촉하지 않아도 감염될 수 있다. 1960년대 백신이 개발된 이래 백신을 2회 접종한 후 항체 양성률, 발병 예방률은 99% 정도가 되었다. 홍역 바이러스 수용체는 CD46과 CD150이며, 바이러스는 기도 점막(결막)에 침입하여 증식을 시작하고, 국소 림프절에 머물렀다 림프구와 대식 세포에 감염을 일...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