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영화로보는도시건축2024.10.181. 서론 산업화 이후 파리는 만국 박람회 개최와 에펠탑의 등장 등 산업화를 상징하는 건축물과 부르주아적 양식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건축사적으로 눈에 띄는 성장과 도시의 아름다움을 탄생시켰다. 그러나 동시에 산업화로 인해 소외된 도시의 음산하고 고독한 분위기도 존재했다. 보들레르의 '악의 꽃, 일곱 늙은이'에서는 "붐비는 도시, 환상이 가득한 도시, 그곳에서는 한낮에도 유령이 행인에게 달라붙는다. 신비는 도처에서 수액처럼 억센 거인의 좁은 배관 속을 흐르고 있다."라고 당시 파리의 모습을 묘사하며, 환상의 도시 파리 속에 감춰진 산업...2024.10.18
-
예술(calssic music)의 순수성과 상업성의 경계는 존재하는가2025.06.011. 예술(Classic 음악)의 순수성과 상업성의 경계 1.1. 클래식과 팝의 역사적 발전 클래식 음악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첫째,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등이 활동했던 고전주의 시대(Classical Period)의 음악이다. 둘째, 대중음악(popular music)과 상반되는 개념으로서의 음악이다. 우리는 주로 후자의 개념으로 클래식 음악을 이야기하곤 한다. 클래식으로 불리는 대부분의 음악들은 여기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후기 낭만주의에서 근대음악에 이르기까지의 음악도 클래식 음악에 포함된다. 그...2025.06.01
-
현재 왜곡된 학교 예술교육의 문제2025.04.161. 서론 대중예술의 한 장르인 웹툰의 인기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웹툰은 드라마나 영화로 리메이크되거나 웹툰 캐릭터를 통한 수익 사업도 활발하다. 이러한 웹툰의 성장은 [기계복제시대 예술작품]에서 제시된 '예술의 정치화'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계복제시대 예술작품]에서 발터 벤야민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은 더 이상 '아우라'가 존재하지 않게 되며, 예술의 가치는 제의적 가치에서 전시적 가치로 이동했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벤야민은 "정치에 기초한 예술의 사회적 기능"이 제의적 가치를 대체한다고 주장...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