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단지계획사례2024.10.241. 하이라인 파크 1.1. 하이라인 파크의 배경 뉴욕 시의 '더 하이 라인'은 불과 50여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화물 열차가 다녔던 철로였다. 한 때는 '뉴욕의 생명줄'이라고도 불릴 만큼 화물열차가 쉴 새 없이 다녔던 길이었지만 1980년대에 들어서자 주와 주 사이에 고속도로 망이 촘촘하게 연결되고 화물 트럭이 대중화되어 활성하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화물열차의 사용빈도수는 적어지게 되었고, 결국 철로는 영구운행 중단되었다. 그렇게 1991년 하이라인은 최남단 5개 블록을 철거하였고, 이후 '하이라인 친구들'이라는 단체가 2명의 시민...2024.10.24
-
장애인 우선 탑승 규제2024.10.091. 서론 이동권은 장애인에게 자기결정적인 삶의 영위와 사회참여를 위한 요소로서 핵심적인 기본권에 속한다. 이동권은 삶의 모든 영역-교육, 근로, 주거, 여가 등-에서 물리적 거리와 장벽을 제거하고 사회적 삶을 확장시켜 나가는데 있어 중요한 수단이 된다. 현대 사회에서 이동성(mobility)은 직장을 다니고, 좋은 곳을 찾아가고, 친구를 만나고, 문화와 레저를 즐기는 등의 활동을 하기 위해 반드시 수반되는 전제조건이다. 이동성이 제약된다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행복추구권이 제약됨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개인의 자유도 속박되는 결과를...2024.10.09
-
노인 교통안전 교육2024.10.031. 고령 운전자의 운전 능력 및 안전 문제 1.1. 노령화에 따른 신체적 능력 저하 노령화에 따른 신체적 능력 저하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 능력 및 안전 문제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령 운전자들의 시력, 청력, 근력, 반응 속도 등 다양한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어 운전에 필요한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도로교통공단의 연구에 따르면, 시뮬레이터를 통한 실험에서 교통상황을 인식하는 인지반응이 51세까지는 유지되는 수준이었으나 52세부터 급격히 저하되기 시작하여 65세부터 85세까지 큰 폭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2024.10.03
-
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 개선2024.10.131.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편견 개선 1.1.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실태 우리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실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 202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한 '장애인 사회적 차별 경험' 자료에 따르면, 취업에서 차별을 경험한 경험이 있는 장애인 비율은 약 35.8%로 나타났고, 결혼 시 차별 경험율은 약 13.2%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 아동 및 청소년 중 학교에서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는 비율은 약 47.1%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 장애인이 사회 거의 모든 영역에서 온갖 차...2024.10.13
-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2024.09.081.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소개 1.1. 건축가 알바루 시자 알바루 시자는 1933년 6월 25일 포르투갈에서 태어난 세계적인 건축가이다. 그는 포르투 미술대학을 졸업하였으며, 1992년 프리츠커상, 2002년과 2012년에 베니스 비엔날레 황금 사자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건축 실력을 인정받아 왔다. 시자의 대표작에는 포르투 세할레스 현대 미술관, 아베이루 대학교 도서관, 리스본 엑스포 파빌리온 등이 있다. 특히 리스본 엑스포 파빌리온은 독특한 곡선의 외관으로 유명하다.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역시 시자가 설계한 작품으로, 순...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