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한글운동 조선어학회2024.09.071. 서론 국어운동(國語運動)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제 나라 말을 사랑하여 지켜 닦아 쓰고 발전(發展)시키자는 운동(運動)'으로 정의된다. 즉, 국내외를 막론하고 자기 국가, 민족, 집단이 보유하고 있는―혹은 그들이 창제한― 언문을 존속 및 유지하고 더 나아가 이를 한 층 더 높은 단계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내부적 움직임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국어운동이라는 것은 단순히 우리나라에 국한된 활동, 혹은 역사적 흐름이 아니라 각 언어집단이 언어창제 이후 겪게 되는 언어사적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우리와 가까운 중국의 경우에도...2024.09.07
-
한글운동에 대해서2024.09.081. 한글의 탄생과 발전 1.1. 한글의 창제와 세종대왕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임금으로, 한글 창제의 주인공이다. 그는 당시 백성들이 한자 문화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래서 백성들이 제대로 된 자신들의 글자를 가지지 못한 채 소외되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세종은 민중을 위한 새로운 문자를 만들기로 마음먹었다. 세종은 당시 집현전 학자들을 불러 모아 한글 창제 작업에 몰두하였다. 그들은 천지자연의 이치에 근거해 한글 글자 모양을 디자인하였다. 자음과 모음의 구조 및 결합 원리에 이르기까지, 세부적인...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