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실습일지2024.10.071. 전북지역 아동건강간호학실습 1.1. 입원 및 퇴원 간호 입원 및 퇴원 간호는 입원하는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며, 원활한 병원생활을 돕고 퇴원 후의 관리를 위한 간호활동이다. 입원 시에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병동의 환경과 시설, 일과표, 병동 규칙 등을 안내한다. 이를 통해 낯선 병원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활력징후 측정, 식사와 투약 관리, 검사와 치료 과정 등 일상적인 간호활동을 수행한다. 퇴원 시에는 퇴원 시기와 절차, 퇴원 후 관리 계획 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필요한 경우 퇴원 후 ...2024.10.07
-
위장계 임상 진단 검사 발표자료2024.10.151. 위장기능 사정 1.1. 위장기능을 사정하기 위한 검사실 검사 1.1.1. 전혈검사 전혈검사는 적혈구, 혈색소, 헤마토크리트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여성의 경우 적혈구 4.0~5.4x백만/㎕, 혈색소 12.0~16.0g/dL, 헤마토크리트 36.0~48.0%가 정상 범위이며, 남성의 경우 적혈구 4.2~6.3x백만/㎕, 혈색소 13.0~17.0g/dL, 헤마토크리트 39.0~52.0%가 정상 범위이다. 혈액의 적혈구, 혈색소, 헤마토크리트가 감소하는 경우 빈혈이나 출혈의 가능성을 의미하며, 혈액의 적혈구, 혈색소, 헤마토크...2024.10.15
-
급성위장염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4.09.291. 급성 위장관염 1.1. 정의 및 원인 1.1.1. 정의 급성 위장관염이란 미생물(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설사가 유발되는 급성 감염성 위장염을 의미한다. 영아나 어린 아동은 설사로 인해 탈수와 영양실조에 빠질 위험이 있다""이다. 1.1.2. 전파경로 급성 위장관염의 전파경로는 주로 분변-경구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설사를 하는 환자의 분변에 포함된 병원체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이다. 또한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 특히 손 씻기가 잘 되지 않을 경우에도 병원체가 전파될 수 있다...2024.09.29
-
대장암 case2024.09.301. 대장암(Colorectal Cancer) 1.1. 개요 및 역학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한다. 대장암은 전체 암 발생 중 두 번째로 많은 암으로, 2017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32,255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대장암(C18~C20)은 28,111건으로 전체의 12.1%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은 54.9건이며, 남녀의 성비는 1.5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70대가 2...2024.09.30
-
임상병리검사 종류와 목적 및 의의2024.11.151. 임상병리 검사 1.1. 임상병리 검사의 정의 임상병리 검사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체액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고 다시 얻어진 검사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질병 진단이나 치료방침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검사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1.2. 임상병리 검사 종류 1.2.1. 혈액검사 1.2.1.1. Hematology(혈액학) Hematology(혈액학)은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악성 혈액질환의 진단 및 추적관찰...2024.11.15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2024.10.301. 기생충의 감염경로와 진단 1.1. 간접전파방법 1.1.1. 토양 접촉 토양 접촉은 기생충의 간접전파 방법 중 하나로, 구충(Ascaris lumbricoides)과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의 사상유충이 토양 내에 존재하면서 이를 통해 사람에게 감염되는 경우이다. 구충은 소화기관에 기생하는 선충류로, 감염 경로는 토양 접촉을 통한 자충포장란의 섭취이다. 난세포가 1개인 수정란 상태로 토양 내에 배출되며, 이 충란이 일정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자충유충으로 발육한다. 이 자충유충이 토양에 존재하...2024.10.30
-
진단검사2024.11.281. 진단검사의 종류와 방법 1.1. 혈액검사 1.1.1. 혈액검사의 종류 혈액검사는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진단검사 중 하나이다. 혈액검사에는 혈구 검사, 혈청 이용 검사, 당뇨 검사, 동맥혈가스 분석검사, 혈액 배양검사 등이 포함된다. 먼저 혈구 검사에는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가 있다. CBC는 혈색소(Hb), 적혈구용적률(Hct), 적혈구(RBC), 백혈구(WBC) 등을 측정하여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백혈구 감별 검사를 통해 백혈구의 종류와 수를 확인할 수 ...2024.11.28
-
진단검사2024.09.101. 진단검사의 이해 1.1. 혈액검사 1.1.1. 혈액검사의 종류와 목적 혈액검사의 종류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전혈구검사인 Complete Blood Count(CBC)는 가장 많이 처방되는 혈액검사 중 하나로, 적혈구(Red Blood Cell, RBC),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혈소판(Platelet)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질병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색소(Hemoglobin, Hb)와 헤마토크릿(Hematocrit, Hct) 수치를 측정하여...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