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대동맥판막협착증2024.10.211.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 Stenosis) 1.1. 정의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대동맥의 혈액이 좌심실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대동맥판막은 정상 구조에서 3개의 얇은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ㅅ'자 모양을 하고 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이란 대동맥판막 소엽이 융합되거나 석회화되어 대동맥판막이 좁아지게 되고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은 더욱 더 강하게 수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심장 ...2024.10.21
-
aortic stenosis 간호진단2024.11.29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으로부터 대동맥이 나가는 부위에 있는 역류방지 작용을 가진 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혈액의 흐름에 장애가 생기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이 더욱 강하게 수축하게 된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출생 시부터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70세 이상 노인들에게 흔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내과적 치료를 받는 경우 5년 생존률이 40%, 10년 생존률이 20%에 불과하지만, 일단 증상이 발현되면 예후가 급격히 악화된다. 현대사회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2024.11.29
-
심장내과에 대해2024.09.021. 일반내과와 외과 진료부서 용어 및 약어 1.1. 순환기내과 순환기내과는 인체 내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인 혈액을 전신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질하는 심장과,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전신으로 전달하기 위한 혈관으로 이루어진 순환기계에 대한 질병을 다루는 내과의 분과이다. 순환기내과에서는 심장, 심장에 연결된 혈관 및 심장을 싸고 있는 심낭에 발생하는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또한 혈액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심장, 혈관 및 심낭에 발생...2024.09.02